수원성범죄전문변호사 교육부가 교육부 본부와 일선 학교에서의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기로 했다.교육부는 6일 오후 8시42분쯤 “딥시크의 개인보호 등 안정성이 확인될 때까지 교육부 본부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기로 결정했다”면서 “각급학교(유초중고)와 교육부 소속기관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도록 안내했다”고 알렸다.다만 대학과 대학원에서 학술 연구와 교육 목적으로 활용하는 경우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활용 시 보안 주의사항’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교육부가 딥시크 제한 조치에 나서면서 딥시크 접속을 금지한 정부 부처는 모두 19개가 됐다. 제한 조치를 발표한 부처는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방부, 환경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통일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문화체육관광부, 금융위원회, 경찰청, 공정거래위원회, 국토교통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민권익위원회 등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외 원조를 동결한 것이 세계 각지의 권위주의 정권을 이롭게 하리란 분석이 나온다. 미국의 지원이 끊기게 된 민주주의 옹호 단체는 자금난으로 활동을 축소하고 있으며, 권위주의 정권은 이를 환영하고 나섰다.4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미국이 그동안 펼쳐온 해외 원조에는 권위주의 국가에서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하는 풀뿌리 단체에 대한 지원금이 포함돼 있다. 예를 들어 베네수엘라 선거 사기 감시 단체, 쿠바와 중국의 민주주의 활동가, 벨라루스의 망명자 단체 등이다. 올해 미국 의회가 벨라루스, 중국, 북한, 러시아 등 8개국에서 민주주의를 증진하는 지원 정책에 책정한 예산은 6억9000만달러(약 9962억원)에 달한다.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취임하면서 해외 원조를 90일 동안 동결했다. ‘미국 우선주의’ 정신에 비춰 해외 원조도 미국을 더 강하고 번영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지를 평가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연방정부를 간소화하겠다며...
경찰이 온라인에서 광범위하게 이뤄지는 성착취,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등 사이버범죄를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수사 단서 수집·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했다.4일 경향신문 취재결과, 경찰은 지난달 24일 ‘사이버범죄 수사단서 통합분석 및 추론시스템’ 개발 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을 공고했다. 시스템 개발에 4년 동안 24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을 통한 사이버 추론 기술을 수사 분야에 활용하는 건 이번이 국내 첫 시도다.경찰이 이 시스템 개발에 나선 것은 텔레그램, 엑스(X·구 트위터), 다크웹, 페이스북 등 온라인에서 이뤄지는 성착취 등 성범죄와 보이스피싱 등 각종 사기범죄에 대한 게시글 등 데이터를 광범위하게 수집해 사이버범죄의 중요한 수사 단서로 삼아 신속하게 범행을 차단하기 위해서다.국내 전체 범죄 발생 건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사이버범죄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경찰에 따르면 2016년 전체 범죄에서 사이버범죄가 차지하는 비율은 8.27%였지만,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