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형사전문변호사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으로 지난해 부천에도 독서 열풍이 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경기 부천시립도서관은 지난해 도서 대출량은 228만권으로 전년보다 13% 증가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노벨문학상 발표 이후 부천시립도서관의 도서 대출 순위 1위부터 10위까지는 모두 한강 작가의 작품이 차지했다고 덧붙였다. 한강 작가 관련 도서 대출량은 전년보다 16배 늘었다.부천시립도서관은 독서 열기를 이어가기 위해 부천시민이 뽑은 ‘2024년 베스트 대출 도서’ 30권을 선정했다. 선정된 도서들은 빅데이터 시스템을 활용해 성인, 청소년, 아동 3개 분야별로 각각 10권씩 선정했다.성인 대출 분야에서는 불편한 편의점(김호연), 지구 끝의 온실(김초엽), 도둑맞은 집중력(요한 하리), 시대예보 : 핵개인의 시대(송길영), 밝은 밤(최은영), 달러구트 꿈 백화점(이미예), 아버지의 해방일지(정지아), 파친코(이민진), 메리골드 마음세탁소(윤정은), 이처럼 사소한 것들(클레어 키...
보고 싶은 것만 봐서 문제? 다른 시각 접하면 생각이 ‘균형적으로’ 바뀔 거란 건 착각 깊은 대화 없는 공존, 단순한 접촉은 자신의 선입견 강화 도구로 사용될 뿐 나와 다른 상대의 모순을 짚고 성내거나 설득하려 하기보다 미처 말하지 않는 진심에 닿도록 ‘제대로’ 귀 기울여야최근 ‘필터버블’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필터버블(Filter Bubble)이란 유튜브, SNS 등에서 마치 동그란 거품에 갇힌 것처럼 내게 편하고 내가 좋아할 법한 영상, 글만 보게 되는 걸 뜻하는데요.필터버블 속에 갇힌 사람들은 내게 불편한 것 대신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고요. 이 때문에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 사이 갈등의 골은 깊어진다고 합니다. 이에 지난달 24일엔 ‘유튜브 필터버블 개선’을 위한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습니다. 언론에서도 ‘필터버블의 현장’을 직접 탐색해보는 기사들이 속속 눈에 띕니다. 이런 관점들의 공통점이라면, 편향된 시각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