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미니업체 12·3 내란 사태 후 급등한 환율이 국제유가 상승과 맞물리면서 지난달 물가 상승이 가팔라졌다. 고환율·고유가·고물가의 3중고가 다시 한국 경제와 서민의 삶을 짓누르고 있는 것이다. 여야와 정부는 민생의 기본인 물가 오름세를 언제까지 방치할 셈인가.통계청은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2% 올랐다고 5일 발표했다. 2%대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8월(2.0%) 이후 다섯 달 만이다. 지난해 1300원대에서 움직이던 원·달러 환율이 12·3 비상계엄 사태 후 1500원에 육박했고, 배럴당 67달러까지 내렸던 두바이유가 지난달 80달러까지 오른 타격이 컸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의 취약점을 드러낸 셈이다.여기에 이상기후 현상으로 배추(66.8%), 무(79.5%), 김(42%), 당근(76.4%) 등 농산물 가격도 천정부지로 뛰었다.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이런 숫자로 표시하기 무의미할 정도다. 설상가상으로, 새해 들어 원재료비·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기름값과 ...
네이버가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가운데 최초로 연간 매출 10조원을 넘어섰다.네이버는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이 10조7377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2.9% 증가한 1조9793억원이다. 네이버는 2018년 처음 매출 5조원을 넘겼고, 신사업을 확장하며 6년 만에 ‘매출 10조원’ 클럽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7% 성장한 2조8856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5420억원으로 33.7% 늘었다. 4분기 사업 부문별 매출액은 서치플랫폼 1조647억원, 커머스 7751억원, 핀테크 4009억원, 콘텐츠 4673억원, 클라우드 1776억원이다.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올해는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걸쳐 온서비스 AI(On-service AI) 전략을 본격 구현하는 중요한 시기”라며 AI 기술 기반으로 플랫폼을 고도화하며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네이버는 한국어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