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b중계 소비자 2명 중 1명은 온라인으로 식료품을 살 때 쿠팡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쿠팡 쏠림 현상이 가팔라지고 있다.시장조사기관 오픈서베이가 11일 발표한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를 보면, 20∼59세 성인 남녀 128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55.4%는 온라인 플랫폼 중 주로 쿠팡에서 식료품을 구매한다고 답했다. 이어 컬리 8.6%, 네이버쇼핑 8.4%, 홈플러스몰 5.6%, 이마트몰 5.0%, G마켓 3.1%, SSG닷컴(쓱닷컴) 2.9% 등의 순이었다.2023년 같은 조사 때 쿠팡을 주로 이용한다는 응답은 40.1%였는데 2년 만에 15.3%포인트 넘게 늘어났다. 반면 네이버쇼핑(9.5%), 컬리(10.3%), 이마트몰(7.9%), 홈플러스몰(7.1%)을 이용한다는 응답은 이전 조사보다 줄었다.최근 3개월간 식료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플랫폼을 묻는 질문에 쿠팡이라고 답한 응답은 73.7%로 뛴다. 이어 네이버쇼핑(3...
‘똘똘한 한 채’ 선호 커지면서 랜드마크 위주 급상승 불가피 거래는 없이 호가만 오를 수도 일각 신중론 “여파 두고 봐야”서울시가 12일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대거 해제하면서 대기 상태에 있던 투자 수요가 몰려 강남 일대의 집값이 들썩일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다만 전반적인 거래 침체 상황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까지 상승세가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나온다.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날 “강남 3구의 집값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돼 있어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경향성을 보여왔지만 이번 해제로 각 지역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큰 폭의 집값 상승은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이날 발표된 지역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지난해 말부터 신고가가 속출했다.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던 잠실의 리센츠 전용면적 124㎡는 지난해 12월 최고가인 37억5000만원에 거래된 데 이어 지난달 37억원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담은 각서에 서명했다. 한국도 사정권에 들어간 것으로 분석되는 등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중국·일본과 함께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14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2025 1차 동북아 정책포럼’에 참석한 중국과 일본 지역·경제 전문가들은 최근 미국의 대중국 추가 관세 부과, 이에 따른 중국의 보복 관세 부과, 미·일 정상회담 개최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세계 통상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앞서 지난 4일 미국은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기존 관세에 10%포인트 추가한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의 조치에 중국은 지난 10일부터 미국산 에너지 등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미국과 정상회담을 개최한 일본은 지난 7일 대미 투자와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중국·일본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선거 과정에서 밝힌 것처럼 중국에 최대 60% 관세 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