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는 내내 집을 보여줬는데 지금은 종일 전화 한 통도 없어요.”서울 강남 3구·용산구 전체 아파트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이 확대 재지정된 지난 24일, 서울 성동구 옥수동에서 만난 공인중개사 A씨는 하루아침에 매수 문의가 끊겼다며 한숨을 쉬었다. 같은 날 서울 마포구 공덕동의 공인중개사 B씨 역시 비슷한 상황이었다. 그는 “기존에 예약된 손님 외에 새로운 문의는 없었다”고 말했다.토허구역 재지정 첫날, ‘풍선효과’가 예측됐던 서울 성동·마포구 부동산 시장은 거래·문의가 확연히 줄었다. 지난달 오세훈 서울시장이 잠실 등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하면서 마포와 성동구까지 들썩였으나 재지정 발표 이후 일주일도 되지 않아 분위기가 반전된 것이다. 강남권의 ‘갭투자(전세 낀 매매)’ 금지로 단기 조정장이 예상되자 마포·성동구도 일단 관망세로 돌아섰다. 금융권의 대출규제 강화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24일 찾은 서울 성동구 옥수동·금호동 일대의 부동산 중개...
산불 진화 헬기(산불 헬기) 부족 문제가 윤석열 정부 출범 초부터 꾸준히 국회에서 지적됐지만 해결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헬기 주축인 러시아제 헬기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초반에 부품 확보 우려가 나왔지만 대응이 이뤄지지 못해 현재 8대가 멈춰선 상태다. 미국에서 헬기를 임차하는 방안도 LA산불로 해외 반출이 금지되며 무산됐다.경향신문이 27일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산불 진화 헬기 문제를 다룬 21·22대 국회 회의록들을 살펴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산불 헬기 문제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일주일째인 2022년 5월 16일 열린 21대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 회의부터 지적됐다.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당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산림청 헬기 62%가 러시아 제품”이라며 “(러·우 전쟁) 사태를 봤을 때 의존도를 낮추고 수입선을 다변화해야 된다”고 말했다. 남성현 당시 산림청장은 “산림청은 입찰 신청을 할 뿐”이라며 “(수입국을) 인위적으로 다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