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아미나이프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가파른 성장을 이어갔다. 반면 한국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하락했다.11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순수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하이브리드차(HEV)에 탑재된 배터리 총 사용량은 894.4GWh(기가와트시)로, 전년보다 27.2% 증가했다.중국이 오름세를 이끌었다. 글로벌 1위 업체인 CATL은 배터리 사용량이 257.7GWh에서 339.3GWh로 31.7% 늘고, 점유율도 36.6%에서 37.9%로 올랐다. 테슬라, BMW, 벤츠, 폭스바겐 등 여러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CATL 배터리를 사용 중이다.2위 BYD(비야디)는 37.5% 성장한 153.7GWh로 점유율 17.2%를 차지했다. CALB는 16.6% 증가한 39.4GWh를 기록하며 SK온과 일본 파나소닉을 제치고 6위에서 4위로 뛰어올랐다.지난해 10...
중국산 인공지능(AI) 딥시크를 향한 관심이 빠르게 식고 있다. 정보 유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웹 서버가 아닌 개인용 PC에 딥시크를 직접 설치해 사용하는 방법도 퍼지고 있다.9일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 데이터 집계에 따르면,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앱) 일간 사용자 수는 지난달 28일 19만1556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급감했다. 지난 4일 일간 사용자는 7만4688명에 불과했다. 딥시크 신규 설치는 설 연휴 기간이던 지난달 28일 17만1257건으로 최다를 기록했으나 지난 4일에는 2만452건에 그쳤다.딥시크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보면, 이 앱은 이용자의 성별·생년월일 등 기본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접속한 장치의 모델, 운영체제, 키 입력 패턴 또는 리듬, IP 주소 및 시스템 언어까지 광범위하게 수집한다.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 등과 비교해도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수준이다.챗GPT의 경우 설정에서 챗봇에 입력한 ...
전태일문학상과 창비장편소설상을 받은 소설가 김학찬씨가 지병으로 지난 8일 별세했다고 유족이 9일 전했다. 향년 42.고인은 2008년 ‘화목야학’으로 제17회 전태일문학상을 받았다. 이어 2012년 <풀빵이 어때서?>로 제6회 창비장편소설상을 받았다.이후 장편소설 <상큼하진 않지만>(2012년), <굿 이브닝, 펭귄>(2017년), 소설집 <사소한 취향>(2022) 등을 펴냈다.빈소는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 장례식장이다. 발인은 10일 오후 2시다.[책과 삶]풀빵집 아들, 아버지 뜻을 저버리고 다코야키 장수가 되다▲풀빵이 어때서김학찬 지음 | 창비 | 200쪽 | 1만1000원 “대단한 건 아니지만 아버님의 일을 잇고 있습니다. 아버님도 아직 일선에서 활약 중이시구요. 워낙 정정하셔서 쉽게 물러나실 것 같지도 않아요, 하하. 그리 크지는 않지만 그럭저럭 먹고살 만한 정도는 됩니다.” 소개받은 여자 앞에서 이쯤 되는 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