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강의 정부·여당이 내년도 의대 정원을 윤석열 정부 증원 이전 규모인 ‘3058명’으로 되돌리기로 6일 가닥을 잡으면서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 사태가 봉합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가 어렵게 늘린 의대 정원 규모를 한시적으로 되돌리면서 전공의·의대생 복귀를 위한 명분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전공의·의대생 복귀 여부가 불투명한 데다 2027학년도 의대 정원을 논의할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추계위)의 구성 및 운영을 두고 갈등이 새롭게 빚어질 가능성도 있어서 낙관하기엔 아직 이른 상황이다.내년도 의대 정원 논의는 지난 5일 의대를 둔 대학 총장들이 의대 측의 정원 3058명 정원 요구를 수용하고, 6일 보건복지부까지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각 대학 총장님의 마음에 공감한다”고 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증원 필요성을 강조해온 복지부까지 정원 회귀로 돌아선 것은 사직 전공의 대부분이 수련에 복귀하지 않고, 25학번 의대생까지 수업을 거부하자 사태 봉합이 우선이라고 판단했기 때문...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놓고 야권 내 신경전이 시작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에선 비이재명(비명)계를 중심으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왔고, 조국혁신당은 모든 야당과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완전국민경선제를 통해 단일 후보를 선출하자는 안을 제시했다. 가장 유력한 대선 주자인 이재명 대표를 보유한 민주당의 고민이 깊어지는 모습이다.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5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이 이뤄진 후에 대선 후보 선출 관련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면서도 “윤 대통령 파면부터 대선까지 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에 다양한 경선 규칙에 대한 실무 점검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민주당은 크게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50%로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안과 완전국민경선제로 후보를 선출하는 안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일부 친이재명(친명)계는 당헌 98조를 후보 경선 근거로 활용하자고 주장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