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흥신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의 공포로 인해 금융시장이 크게 출렁이고 있다. 코스피 지수는 하루 만에 3% 넘게 추락하며 2600 선을 무력하게 내줬고 안정세를 보였던 원·달러 환율은 다시 달러당 1460원 선을 돌파했다. 원·엔 재정 환율도 975원을 넘는 등 1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관세에 취약한 국내 산업구조와 경기침체가 금융시장에 악재로 작용한 것이다.지난달 2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0.4원 오른 달러당 1463.4원에 주간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24일(1427.4원) 1420원대 후반까지 떨어졌던 환율이 5거래일 만에 30원 넘게 상승한 것이다.코스피도 같은 날 전장보다 88.97포인트(3.39%) 급락한 2532.78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8월5일(-8.77%) 이후 최대 낙폭이다. 이날 일본 닛케이(-2.88%), 홍콩 항셍(-3.28%) 등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폭락했고 비트코인의 개당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난항 끝에 결렬된 다음 날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우크라이나의 상황이 잊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젤렌스키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엑스(X·구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전쟁 중이나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우크라이나의 목소리가 들리고 누구도 잊지 않는 것이 우리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썼다. 이어 “우크라이나 국민은 자신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것, 그들의 요구가 모든 나라와 세계의 모든 구석에서 대변되고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젤렌스키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에서 열린 회담에서 공개적으로 날 선 발언을 주고받으며 충돌했다. 결국 예정됐던 광물 협정은 무산되면서 회담은 결실 없이 종료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을 향해 “예의가 없다”, “감사할 줄 모른다”는 등 비판을 쏟아냈고 젤렌스키 대통령 역시 물러서지 않고 자신의 입장을 강하게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