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성범죄변호사 2년 가까이 내전이 벌어지고 있는 북아프리카 수단에서 군부가 수도 하르툼을 탈환했다고 밝혔다.수단 군부 최고 지도자인 압델 파타 부르한 총사령관은 26일(현지시간) 하르툼의 대통령궁에서 반군인 신속지원군(RSF)을 몰아냈다며 “하르툼 해방”을 선언했다.내전 초기 RSF가 하르툼 대부분을 신속하게 장악함에 따라 정부군이 대통령궁을 탈환한 것은 약 2년여 만이다.정부군은 또한 수도 남쪽에 있는 RSF의 군기지를 장악했으며, 이곳이 하르툼 일대에 있는 반군의 마지막 주요 거점이라고 밝혔다.최근 정부군이 수도를 비롯한 중부 일대를 속속 탈환하며 이곳에서 밀려난 RSF는 다르푸르 등 서부 일대에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내전 장기화로 사실상 국가가 분할될 위기에 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수단은 1956년 영국과 이집트로부터 독립한 이후 잦은 내전을 겪어 왔으며, 2023년 4월 군벌 간 권력투쟁으로 무력 충돌이 발발하며 또다시 내전에 휩싸였다.부르한 총사령관이 이끄는 ...
산림 전문가들은 영남 지역을 휩쓴 대형 산불이 ‘전형적인 인재’라고 지적했다. 침엽수 중심 조림 등 산림청의 산림관리 실패와 이원화된 산불 대응 태세가 산불 피해를 키웠다는 것이다. 산림청과 소방청으로 나뉜 산불 대응을 소방청으로 일원화하고 산불 이후 섣부른 인공조림보다 자연 복구에 맡겨둘 필요성이 제기됐다.홍석환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는 30일 경향신문과 전화 인터뷰를 하며 “산불은 작은 불꽃이나 불똥, 성냥불, 라이터 불 등 다양한 원인으로 시작될 수 있다”면서 “하지만 산불 발화가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것은 결국 산림관리 방식이 잘못되어 벌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홍 교수는 “산림청은 경제성이 높다며 곳곳에 소나무를 심고 활엽수 등 다른 나무를 솎아내는 이른바 ‘숲 가꾸기 사업’을 진행해왔다”면서 “그런 사업이 산을 더욱더 메마르게 만들었다”고 말했다.침엽수는 목재로서의 경제성이 떨어지고 산불 피해를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 오랫동안 제기되어왔다. 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