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소송 민간에 팔린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울 동교동 사저를 재매입하기 위한 김대중재단의 모금 활동이 12·3 비상계엄 이후 시작도 못하고 중단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배기선 김대중재단 사무총장은 23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사저를 재매입하기 위한 모금 운동을 시작하려 했지만 김 전 대통령 가족들과 관련된 문제가 풀리지 않아 기다리고 있던 사이 12.3 비상계엄 사태가 벌어졌다”라며 “비상계엄 사태 이후에는 정치권이나 국민의 관심이 모두 그쪽에 쏠리다 보니 사저 모금 얘기를 꺼내기도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앞서 김 전 대통령의 3남 김홍걸 전 민주당 의원은 거액의 상속세 부담을 이유로 동교동 사저를 지난해 100억원에 민간에 팔았다. 동교동 사저는 김 전 대통령이 생사고락을 겪은 장소이기에, 매매가 이뤄진 사실은 정치권의 논란이 됐다. 동교동계 인사들은 김 전 의원이 자신들과 상의 없이 매도를 결정했다고 비판했다. 반면 사저가 팔리기까지 상황을 방치한 동교동계와 민주당을...
국가인권위원회가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통과시킬 때 이충상 상임위원이 제출한 의견서에 ‘야당이 탄핵소추권을 남용했다’는 답변을 유도한 설문조사 결과가 담긴 것으로 나타났다. 윤 대통령 측의 일방적인 논리를 길게 설명한 다음 의견을 물은 것이다. 인권위 안팎에선 인권친화적이고 중립적이어야 할 인권위원으로서 부적절한 행위라는 지적이 나온다.경향신문이 23일 입수한 이 위원의 의견서를 보면 설문조사 결과가 첨부돼 있었다. 이 위원이 직접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지난 4일 자동응답서비스(ARS) 방식을 이용해 전국 성인 10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이었다.설문조사 문항은 단 1개였다.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는 1948년부터 2022년까지 74년 동안 국회가 탄핵 소추한 대통령 외의 공직자는 1명뿐이며 그 탄핵소추는 각하됐다. 그런데 민주당은 최근 2년 동안 대통령 외의 공직자 12명을 탄핵 소추했고 그 12명은 국무총리, 감사원장,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