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흥신소 지난해 이상기후 영향으로 생산이 감소하며 가격이 급등한 배추와 무의 수입량이 역대급 규모를 기록했다. 대규모 수입에도 불구하고 가을과 겨울 작황 부진에 따른 출하량 감소로 올 1분기 수급 불안과 가격 상승이 우려된다.2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배추 수입량은 전년(164t) 대비 25배 넘게 증가한 4135t으로 최근 10여년 새 최대 규모다. 배추 연간 수입량은 2020년 643t, 2021년 67t, 2022년 2030t 등으로, 배추 파동이 있었던 2022년을 제외하면 최근 10년간 연간 평균 수입량은 수십t에서 수백t 수준에 머물렀다.지난해 수입된 배추와 무는 전량 중국산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수급 불안으로 가격이 뛰자 정부가 배추와 무 등 수입 농산품에 관세율을 한시적으로 낮추는 할당관세를 적용했고, 이를 통해 민간 수입업체들이 중국산 배추와 무를 대거 수입한 것”이라고 말했다. 수입 물량은 가정용이 아닌 식자재 마트와 급식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