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공연 지난해 물가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중 9개가 과일·채소 등 먹거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는 1년 사이 가격이 70% 넘게 올랐다. 이상기후로 인한 작황부진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3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 조사 품목 458개 중 전년 대비 물가 상승폭이 가장 큰 품목은 배로 나타났다. 배는 2023년도 재고량 부족과 폭우·폭염으로 인해 출하량 감소가 겹쳐 가격이 1년 전보다 71.9% 급등했다.귤도 하반기 작황 부진 등과 사과·배 가격 급등에 따라 대체수요가 늘면서 가격이 전년대비 46.2% 올랐다. 감(36.6%), 사과(30.2%)도 폭염·호우 영향으로 물가가 크게 올랐다.배추(25.0%), 무(24.5%), 김(21.8%), 토마토(21.0%), 당근(20.9%) 등도 물가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에 포함됐다. 상위 품목 10개 중 9개가 과일·채소 등 먹거리인 셈이다.먹거리 외 유일한 품목은 컴퓨터 수리비로 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하자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만큼, 연휴 이후 국내 금융·외환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겠다”고 밝혔다.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회의)를 열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와 미국 신정부 정책 구체화 등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 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기재부는 “국제금융시장이 기준금리 동결 등 연준 회의 결과를 예상된 수준으로 받아들이면서 주가·금리 등 주요 지표가 대체로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였다”고 평가했다.정부는 다만 미국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이 커진 데다 연휴 기간 주요국 증시가 기술주 중심으로 변동성이 커진 만큼, 연휴 이후 국내 금융·외환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최 권한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