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구제란? GS리테일은 지난 1월 편의점 웹사이트에서 9만여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데 이어 지난달 홈쇼핑에서도 개인정보 158만건이 유출된 정황이 확인됐다. 해킹 수법으로 지목된 것은 ‘크리덴셜 스터핑’. 사람들이 사이트마다 같은 아이디·비밀번호를 쓰는 점을 악용해 모종의 경로로 수집한 정보로 다른 사이트에도 로그인을 시도하는 공격이다. 최근 인크루트, SPC그룹 해피포인트도 이러한 수법에 당했다.문제가 된 것은 비밀번호. 보안 수준을 높인다며 숫자에다 영어 소문자, 특수문자에 이젠 영어 대문자까지 넣으라는데, 비밀번호 외우기도 버거울 지경이다. 하지만 전 세계 비밀번호 지침의 기준이 되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는 지난해 10월 기존의 복잡한 비밀번호가 오히려 보안성을 취약하게 한다고 발표해 파장이 일었다.대안으로 떠오르는 인증 방식이 있다. 비밀번호가 필요없는 인증 시스템 ‘패스키(Passkey)’이다.“해커들이 다크웹에서 이미 해킹으로 유출된 정보를 저렴하게 얻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