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9 이태원 참사’로 피해를 본 유족이나 당시 참사로 신체·정신·경제적 피해 등을 입은 이들을 대상으로 정부가 4월부터 피해 지원 신청을 받는다. 참사 피해자로 인정되면 생활지원금과 의료지원금, 심리·정신 치료, 휴직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행정안전부 산하 ‘10·29 이태원 참사 피해 구제 심의위원회’는 4월1일부터 2026년 5월20일까지 이태원 참사 피해 지원 신청을 받는다고 31일 밝혔다.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피해자로 인정되면 생활지원금 및 의료지원금 지급과 심리·정신 치료, 치유 휴직 등 지원을 받는다. 신청 자격은 희생자의 배우자(사실상 배우자 포함)·직계존비속·형제자매, 참사로 신체적·정신적·경제적 피해를 입어 회복이 필요한 사람이다. 참사 당시 긴급구조나 수습에 참여한 사람(직무로서 구조·수습에 참여한 공무원 제외), 해당 구역 인근에서 사업장을 운영하거나 근로활동을 하던 사람도 신청할 수 있다.신청은 서울 종로구 광화문...
경북 의성·경남 산청군 등 대형 산불 피해 지역에 산림인접 산불비상소화장치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피해 지역 마을 중에는 비상소화장치가 한두 개 있거나 아예 없는 곳도 있었다.녹색연합이 2일 공개한 ‘2025년 산불 피해 시군 산림인접 산불비상소화장치 현황’ 자료를 보면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산청·울주 등 산불 피해 7곳에 설치된 비상소화장치는 모두 110개다.비상소화장치는 마을 인근에 산불이 났을 때 옥외소화전과 호스를 연결해 신속히 불을 진화할 수있는 일체형 소방 설비다. 특히 산림인접 비상소화장치는 소방차가 접근하기 어렵거나 산불 위험이 높은 산림 인근 마을에 설치해 초기 화재에 대응한다.영덕이 91개로 가장 많았고 청송 10개, 의성 5개, 안동 2개, 영양 1개, 산청 1개였다. 울주에는 비상소화장치가 한개도 설치되지 않았다. 이번 산불 피해 지역 중 영덕을 제외한 대부분 피해 지역에는 비상소화장치가 턱없이 부족했던 것이다.비상소화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