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 어바웃 타임(OCN 무비즈 오전 10시) = 수줍음이 많아 연애 한 번 못해본 팀은 성인이 된 날 아버지로부터 놀라운 비밀을 듣는다. 가문의 남성들에게는 시간을 되돌릴 능력이 있다는 것. 팀은 런던에서 만난 메리에게 첫눈에 반하고, 메리의 사랑을 얻고자 마음껏 시간을 되돌린다. 두 사람은 결혼을 하고 꿈같이 행복한 나날을 보내지만, 시간 이동의 결과로 예상치 못한 사건들이 벌어진다.
■ 예능 ■ 엠카운트다운(Mnet 오후 6시) = 한여름 무더위를 날리기 위해 바다가 보이는 도시 보령을 찾는다. 마법 소녀 콘셉트로 돌아온 최예나(YENA), 시원한 밴드 사운드로 돌아온 남우현, 하이틴 콘셉트로 돌아온 키키(KiiiKiii) 등이 보령머드축제의 특설 무대에서 공연한다. 900회를 맞는 이날 방송에서 1위 트로피를 차지할 주인공은 누구일지 기대감이 고조된다.
무더위가 이어진 7일 광주 북구 우치공원 동물원에서 아시아코끼리와 갈색꼬리감기원숭이, 곰, 알락꼬리원숭이(왼쪽 사진부터)가 얼음 속에 든 과일을 먹으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연합뉴스>
반도체 등 수출 호조, 해외투자에 따른 배당소득 증가에 힘입어 경상수지 흑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철강·자동차 등의 수출은 1년전보다 감소해 점차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도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를 보면, 6월 경상수지는 142억7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사상 최대 흑자 규모이며 26개월 연속 흑자다. 올해 상반기 누적 경상수지 흑자(493억7000만달러)는 상반기 기준으로 역대 3위다.
항목별로 보면 6월 상품수지 흑자(131억6000만달러)가 전월보다 25억달러 늘었다. 2017년 9월(145억2000만달러), 2016년 3월(133억2000만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흑자 폭이다. 수출(603억7000만달러)은 반도체, 컴퓨터 주변기기 등 IT(정보기술) 품목 호조가 지속된 데다 의약품 등 비IT 품목 수출도 늘면서 한 달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통관 기준으로 컴퓨터 주변기기(13.6%)·반도체(11.3%)·의약품(51.8%) 등의 증가율이 높았다.
이에 반해 승용차(-0.3%)·석유제품(-0.9%)·철강제품(-2.8%)은 감소했다. 다만 승용차의 경우 전월(-5.6%)보다 감소 폭이 줄었다. 지역별로는 유럽연합(14.7%)·동남아시아(6.0%)에서 호조를 보인 반면 미국(-0.5%)·중국(-2.7%)에선 고전했다.
수입(472억1000만달러)은 3개월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반도체제조장비(38.8%)·반도체(22.7%) 등 자본재와 승용차(7.3%) 등 소비재 수입 증가세가 확대되고, 원유(-15.2%) 등 원자재 수입 감소 폭이 축소된 데 따른 것이다.
서비스수지는 25억3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하면서 전월보다 적자 폭이 커졌다. 서비스수지 중 여행수지(-10억1000만달러)는 입국자 수가 줄면서 적자가 전월(-9억5000만달러)보다 늘었다.
해외에서 일을 해서 벌어들인 임금과 투자로 벌어들인 투자소득의 합인 본원소득수지(41억6000만달러)는 전월보다 약 2배 불었다. 배당수입 증가로 배당소득수지가 15억9000만달러에서 34억4000만달러로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1국장은 “반도체 수출과 배당소득 호조가 이어지면서 하반기에도 경상수지는 양호한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며 “앞으로 반도체·의약품에 대한 미국의 품목관세가 결정되더라도 한·미 무역합의 때 반도체·의약품은 최혜국 대우를 받기로 한 만큼 한국만 경쟁력이 떨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8일 오후 2시35분쯤 부산 송도해수욕장에서 2인용 카약이 뒤집어져 60대 남성과 일행이 바다에 빠지는 사고가 났다.
이날해경에 따르면 인근에 있던 안전 요원들이 현장에서 카약을 바로 세웠고 이들을 구조했다. 당시 이들은 물 위에 떠 있는 수상 구조물인 폰툰에 카약을 올리기 위해 대기 중이었다.
그런데 약 1분 뒤 60대 남성이 쓰러졌고,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으나 결국 숨졌다. 이들은 구명조끼를 입고 있었으며 동승자인 20대는 건강에 이상이 없다.
이들은 송도해수욕장 내 송도해양레포츠센터에서 운영하는 무료 카약 체험을 하고 있었다. 해경은 60대 남성의 정확한 사망 원인과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업그레이드된 완전자율주행(FSD·Full Self-Driving) 모델을 훈련 중이며, 이르면 다음달 출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밝혔다.
CNBC 방송에 따르면 머스크는 지난 6일(현지시간) 엑스(X)에 올린 글에서 “테슬라는 약 10배의 파라미터(매개변수)와 영상 압축 손실을 크게 개선한 새 FSD 모델을 훈련 중”이라며 “테스트가 잘 진행된다면 다음달 말에 공개 출시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파라미터는 인공지능(AI) 모델에서 인간의 두뇌 속 신경망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수가 많을수록 더 복잡한 판단이나 인식을 할 수 있다. 10배 더 정교해지고 카메라나 센서가 감지한 영상도 더 정확하게 해석하는 모델을 만들고 있다는 뜻이다.
FSD는 부분 자동화 운전 시스템으로, 운전자는 핸들을 잡고 있어야 하며, 언제든지 조향이나 제동에 개입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이 시스템은 유럽과 중국에서 이미 사용 중인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운전 보조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버전이기도 하다.
테슬라의 FSD는 중국 자동차업체들이 급부상하는 가운데 점점 더 경쟁이 치열해지는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매출 성장과 기술 발전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된다.
투자자들은 테슬라의 미래가 자율주행에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테슬라도 자율주행 성능 향상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실제로 테슬라의 주력 사업 분야인 전기차 판매는 최근 수요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2분기 자동차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6% 감소했고, 유럽 시장 판매도 급감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6월 중국 외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포함) 집계에서 테슬라는 모델Y와 모델3의 부진 속에 지난해보다 17.2% 감소한 45만7000대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SNE리서치는 “폭스바겐이 같은 기간 66.2% 증가한 59만1000대를 판매하며 테슬라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면서 “ID.4, ID.7 등 전기차 전용 플랫폼(MEB) 기반의 주력 모델이 유럽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고 프리미엄 전기차 전용 플랫폼 ‘프리미엄 플랫폼 일렉트릭’(PPE)이 적용된 신차도 호조를 나타낸 결과”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