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광주=뉴시스] 박기웅 기자 =
작성자  (211.♡.142.97)
[광주=뉴시스] 박기웅 기자 = [광주=뉴시스] 박기웅 기자 = 17일 오전 7시11분께 광주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불이 나 소방 당국이 불을 끄고 있다. 이날 불은 타이어 생산에 필요한 고무를 정련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25.05.17. pboxer@newsis.com [광주=뉴시스]맹대환 변재훈 박기웅 기자 =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가 두 개 구역 중 하나인 2공장 곳곳으로 크게 번지며 9시간 넘게 이어지고 있다.대피 직원 1명이 중상을 입은 데 이어 화재 진압 소방관 2명도 다치며 지상 소방력도 현장에서 철수, 완전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비좁은 공장 곳곳으로 불길이 확산하면서 경제적 피해 역시 눈덩이처럼 불고 있다. 높이 치솟는 불길과 매캐한 연기에 시민들도 마음을 졸이고 있다. [광주=뉴시스] 17일 오전 7시11분께 화재가 발생한 광주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발화지점. (그래픽=최희영) photo@newsis.com 원자재 제련공장 불…직원 1명·소방관 2명 부상 17일 광주시와 소방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11분께 광주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내 2공장(서편) 원자재 제련 공장 주변에서 불이 났다. 화재 직후 공장 측은 근무조 400여 명을 모두 공장 밖으로 대피토록 했으나 3층 높이에서 옆 건물로 이동하려던 20대 직원 A씨가 추락한 뒤 119구조대에 의해 구조됐다. 머리와 허리 등을 크게 다쳤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건물 내에 쌓여있던 원자재 생고무 20t과 설비가 불타오르고 건물 붕괴와 폐유 탱크 폭발이 잇따르며, 현장 소방관 2명도 다쳤다.진화 소방관 1명은 건물 3차 붕괴 당시 발생한 폐유 저장탱크 폭발로 얼굴에 2도 화상을 입고 이송됐다. 다른 소방대원 1명도 머리에 1도 화상을 입어 응급처치 후 현장에서 근무 중이다. [광주=뉴시스] 17일 오전 7시11분께 광주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공장 건물 위로 화염이 치솟고 있다. 2025.05.17. (사진=독자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공장미국의 지원 중단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프로그램 의료 종사자 8000명이 실직했다.16일(현지시간) 현지 일간지 더시티즌에 따르면 아론 모초알레디 남아공 보건부 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남아공의 HIV/AIDS 프로그램에 제공했던 연간 약 4억3600만 달러(약 6089억원)의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 중동 순방을 마치고 아부다비를 떠난 후 에어포스원에 탑승한 도널드트럼프 대통령. AFP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과 함께 미국 정부의 대외 원조를 일시 중단하며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해외 원조 프로그램으로 꼽히는 '에이즈 퇴치를 위한 대통령의 긴급계획'(PEPFAR)의 자금 송금을 차단했다. 남아공 HIV/AIDS 프로그램 연간 예산 25억 달러(약 3조5000억원)의 17% 정도를 차지한다.모초알레디 장관은 남아공 HIV/AIDS 프로그램 의료 종사자는 전국 27개 지역에 27만1606명에 달한다고 전했다. 이어 "이 가운데 PEPFAR의 지원을 받는 1만5539명 중 8061명이 실직했다"고 말했다.남은 인력과 인프라로 HIV/AIDS 프로그램은 계속 작동하고 있다고 모초알레디 장관은 강조했다. 그는 "나머지 7478명은 적어도 올해 9월까지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자금을 지원받기 때문에 여전히 고용돼 있다"며 "그들은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모초알레디 장관은 미국의 지원 중단 이후 남아공의 HIV/AIDS 프로그램이 무너지고 있다는 최근 현지 언론 보도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상당한 인력 감축에도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남아공 비정부기구(NGO)가 운영하고 미국 국제개발처(USAID)가 자금을 지원했던 12개의 전문 HIV클리닉이 폐쇄됐지만, 이들 클리닉에서 치료받던 6만 명 이상의 환자를 주립 보건 시설에 등록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유엔 에이즈 기구에 따르면 남아공에는 약 770만 명의 HIV 감염 환자가 있다. 이 가운데 600만명에 가까운 환자가 HIV/AIDS 프로그램으로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다.모초알레디 장관은 다른 정부와 구호 기관에 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새로운 자금이 확보되지는 않았다면서도 "어떤 상황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으로 이 프로그램이 [광주=뉴시스] 박기웅 기자 =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26,536 개, 페이지 4326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