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가입현금지원 전남지역 농수산식품의 대미 수출액이 올해 들어 4월 말 기준 5000만 달러를 돌파했다.전남도는 “4월 현재까지 미국으로의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5337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8%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전체 국가 농수산식품 수출액 2억7424만 달러의 19.5%를 차지하는 규모다.미국은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출국이다. 가장 두드러진 품목은 김이다. 미국 수출액은 3845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35.2% 급증했다.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김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고부가가치 식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 식품 전문 매장뿐 아니라 대형 유통 체인 진입도 지속 확대되고 있다.음료 수출도 235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3.6% 늘었다. 최근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흐름에 따라 알로에주스, 배 주스, 양파즙 등 기능성 음료의 수요가 늘면서 건강 지향 제품으로 다양화하는 추세다.김치(65만 달러)와 장류(83만 달러) 등 전통 발효식품도 미국 시장...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1호 지시’로 비상경제대응 태스크포스(TF) 설치를 주문했다.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핵심 경제팀이 국회 청문회까지 통과하려면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당장 비상경제대응 TF가 2차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등 새 정부 초반 경제 현안 대응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이 대통령은 4일 국회에서 열린 취임선서에서 “불황과 일전을 치르는 각오로 비상경제대응 TF를 바로 가동하겠다”며 “재정을 마중물로 삼아 경제의 선순환을 되살리겠다”고 밝혔다. 비상경제대응 TF는 이 대통령의 핵심 공약 중 하나다.비상경제대응 TF는 우선 경기부양을 최우선 목표로 기재부와 함께 2차 추경 편성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통령은 앞서 선거 과정에서 “내수 회복을 위해 최소 35조원 이상의 추경을 추진하겠다”고 언급해왔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날 “규모와 사업 방향이 정해지면 추경편성 작업은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다”고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