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아비 | |||||
---|---|---|---|---|---|
작성자 | (210.♡.40.166) | 작성일 | 25-05-25 12:31 | ||
[텔아비브=뉴시스]김난영 기자 = 하마스 잔여 억류 인질인 이타이 헨의 부친 루비 헨 씨(왼쪽)와 모친 헤기트 헨 씨가 22일(현지 시간) 텔아비브 인질가족포럼 본부에서 인터뷰에 응하고 있다. 2025.05.25. [텔아비브=뉴시스] 김난영 기자 = "나는 아직 이타이가 살아있다고 믿는다."지난 22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만난 헤기트 헨 씨의 말이다. 그는 2023년 10월7일 하마스에 끌려간 이스라엘군(IDF) 병사 이타이 헨의 모친이다.미국·이스라엘 이중국적자이자 홀로코스트 생존자 혈통인 이타이는 18살에 IDF에 지원했다. 19살이던 이듬해 하마스의 '알아크사 홍수' 기습이 벌어졌다.이타이는 기습 당시 가자 접경 나할 오즈 기부츠에서 탱크 부대 일원으로 몇 시간을 싸웠다. 당시 전투 상황은 탱크의 블랙박스에 고스란히 남았다. 그것이 이타이가 마지막으로 남긴 흔적이다.그리고 기약 없는 기다림이 이어지던 어느 날, 누군가가 이타이 가족의 집 문을 두드렸다. IDF를 대표해 찾아온 랍비(rabbi·유대 율법학자)였다."랍비가 온다면 그건 좋은 소식이 아니다."이타이의 부친인 루비 씨는 그렇게 말했다. 유대교 장례 절차에서 랍비는 매장의 시간을 정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루비 씨는 "IDF는 이타이가 10월7일에 살아남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이해했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IDF는 지난해 3월 이타이를 사망자로 발표했다. [텔아비브=뉴시스]김난영 기자 = 22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 소재 인질 광장에 억류 시간을 뜻하는 모래시계와 인질의 자리를 뜻하는 노란색 의자가 놓여 있다. 2025.05.25. 현재 가자 지구에는 58명의 인질이 여전히 억류돼 있으며, 이들 중 20여 명을 제외하고는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IDF가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추산한 수치다.헤기트 씨는 그러나 "우리에게는 (IDF의 정보는) 충분하지 않다"라고 단언했다. 두 눈으로 볼 수 있는 물증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그들은 계 BYD 아토3의 상위 트림인 ‘아토3 플러스’. 권재현 선임기자 지난달 한국 시장에서 고객 인도를 시작한 중국 BYD(비야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아토3’의 초반 인기몰이가 예사롭지 않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다.한국수입차협회(KAIDA)에 따르면 아토3는 국내 진출 첫 달인 지난달 543대가 팔려 수입 전기차 1위에 올랐다. ‘전통 강자’인 테슬라 중형 SUV ‘모델Y 롱레인지’(533대, 2위)와 중형 세단 ‘모델3 롱레인지’(350대, 3위)를 모두 제쳤다. 특히 출고를 시작한 지난달 14일부터 30일까지 단 17일간 판매된 물량만으로 정상에 오른 것이다. 테슬라 ‘모델Y’가 부분 변경을 앞두고 있어 판매가 저조했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눈에 띄는 결과다. ‘아토3 플러스’ 측면 모습. 기자가 시승한 서프 블루(Surf Blue) 외에도 코스모스 블랙(Cosmos Black), 타임 그레이(Time Gray), 스키 화이트(Ski White) 등 3가지 외장 컬러가 더 있다. 권재현 선임기자 호기심이 부른 ‘반짝 특수’일까. 한국 소비자들을 끌어당긴 것은 무엇일까. 첫 타석부터 ‘장타’를 터뜨린 배경이 궁금했다. 지난 16일 ‘아토3 플러스’ 모델을 몰고 강원 춘천으로 향했다.잔뜩 찌푸린 날씨였지만 화려한 서프 블루(Surf Blue) 외장 컬러가 시선을 끌었다. 헤드램프에서 테일램프까지 차체를 가로지르는 캐릭터 라인은 강력하면서도 우아했다. 소형 SUV라지만 전고(1615㎜)가 높아 중형 SUV 못지않은 인상을 풍겼다.아토3는 5인승이다. 내부도 비좁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다. 파노라마 선루프가 개방감을 더했고, 트렁크(적재공간)도 뒷좌석을 접으면 충분히 넉넉했다. 아토3의 트렁크 내부 모습. 권재현 선임기자 도어 포켓에 달린 줄을 두드리니 ‘두둥’ 하고 소리를 낸다. 권재현 선임기자 독특한 디자인도 눈길을 끄는 데 한 몫 한다. 피트니스와 음악이 콘셉트라고 했다. 역동성과 리듬감을 강조하기 위해서라는데, 유심히 보니 이해가 됐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