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이르면 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첫 공식 외교 일정을 소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최우선 대외정책을 대중 견제로 설정한 상황에서 한·미동맹 문제가 이재명 정부 대외정책의 최대 난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역대 대통령들은 취임이나 당선 직후 미국 대통령과 취임 인사차 통화를 해왔다. 앞서 2017년 5월 조기 대선에서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도 취임 당일 밤에 트럼프 당시 대통령과 통화했다.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도 이날 밤에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서 한·미동맹의 공고함과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공조 의지 등을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취임에 따른 상견례 성격이지만 종잡을 수 없는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상 그가 관세와 국방비, 주한미군, 대중국 견제 문제 등을 거론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게 미국 방문을 요청할지도 주목된다. 그렇다면 한·미...
미국과의 관세협상은 이재명 정부가 가장 먼저 매듭을 풀어야 할 경제·안보 현안 중 하나다.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만큼) 저도 만만치 않다”고 말하며 ‘퍼주기’는 없을 것임을 강조한 바 있다. 향후 미국과 치열한 ‘밀고 당기기’가 펼쳐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전 정부가 약속한 ‘7월 패키지’ 시한에 연연하지 말고, 사면초가에 놓인 트럼프 대통령의 체면을 세워주면서 실리를 챙길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이재명 정부는 4일 출범과 동시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협상 압박을 맞닥뜨렸다. “4일(현지시간 기준)까지 ‘최상의 제안(best offer)’을 가져오라”는 트럼프 행정부의 ‘서한’이 출범일을 전후해 당도한 것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별로 답변을 받은 뒤 내용을 평가해 합의가 가능한 범위를 제시할 계획이다.이재명 정부로서는 당장 이 서한에 어떻게 답신할지부터가 ‘난제’다. 미국 측 요구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