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보건복지부(HHS)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처방약 가격 인하 행정명령에 대한 후속조치를 발표하자, 국내 바이오시밀러 업계는 “이 조치가 미국 내 영업에 긍정적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면서 신중론도 상당하다.셀트리온은 21일 보도자료를 내고 “(행정명령 후속조치는) 고가 의약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에 약가 인하를 유도하는 바이오시밀러는 목표 대상이 아니다”라며 “오히려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처방이 확대될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바이오시밀러란 특허가 만료된 원개발 의약품과 성능이 거의 같게 만든 복제약을 가리킨다.미 HHS는 20일(현지시간) 처방약의 최혜국 가격(MFN)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국민소득이 미국의 60% 이상인 국가의 가장 낮은 약가를 기준으로 설정한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의약품에 대해 MFN을 설정한다는 행정명령을 낸 것에 대한 후속조치다. 미 정부는 약가 인상의 주요인인 의약품 유통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