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자체 핵무장을 선택해야 하는가…'한반도 핵무 | |||||
---|---|---|---|---|---|
작성자 | (211.♡.213.242) | 작성일 | 25-06-06 19:35 | ||
한국은 자체 핵무장을 선택해야 하는가…'한반도 핵무기정치'책 표지 이미지[W미디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 이스라엘과 그 적들 = 최홍섭 지음. 2천년 가까이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던 유대인 디아스포라들이 1948년에 세운 작지만 강한 나라 이스라엘을 소개하고 이 나라와 적대 관계에 있는 세력들에 관해 설명하는 책이다. 2차 대전 중에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를 겪으며 수난의 세월을 보냈던 유대민족은 이스라엘 수립 후 꾸준히 힘을 키웠다. 책에 따르면 건국 당시 이스라엘의 인구는 80만명 남짓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12배로 늘어나 1천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한국보다 월등하게 높은 합계출산율과 지속적인 알리야(해외 거주 유대인의 이스라엘 귀환) 등에 힘입은 결과로 보인다. 1980·1990년대 전후로 구소련 출신의 유대인 과학자들이 대거 알리야에 동참하면서 이스라엘의 첨단 기술 수준도 급격히 상승했다. 근로자 1만명당 과학기술자 수는 140명으로 미국(85명)과 일본(83명)을 능가하는 수준이다. 2000년 이후 동지중해에서 가스전을 발견하고 생산하면서 이스라엘은 자원 강국의 반열에도 오른다. 이스라엘의 성장은 팔레스타인에는 엄청난 악재였다.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 건국 다음 날인 5월 15일을 재앙의 날이라는 뜻을 담은 '알 나크바'라고 명명한 것에서 이런 인식을 단적으로 엿볼 수 있다. 책은 2023년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침공하면서 펼쳐진 중동 분쟁의 새로운 국면을 조명하고 작년 대선에서 권좌를 되찾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왜 이스라엘을 지지하는지도 살핀다. W미디어. 331쪽.책 표지 이미지[명인문화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한반도 핵무기정치 = 김계동 편저. 이상현·전봉근·김보미·함형필·권보람·김광진·황지환·정성장·이춘근·마상윤·이경석 지음. 북한이 6차례의 핵실험을 거쳐 사실상의 핵무기 보유국 지위를 넘보는 가운데 남한에서 대두하는 핵 자한국은 자체 핵무장을 선택해야 하는가…'한반도 핵무기정치'책 표지 이미지[W미디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 이스라엘과 그 적들 = 최홍섭 지음. 2천년 가까이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던 유대인 디아스포라들이 1948년에 세운 작지만 강한 나라 이스라엘을 소개하고 이 나라와 적대 관계에 있는 세력들에 관해 설명하는 책이다. 2차 대전 중에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를 겪으며 수난의 세월을 보냈던 유대민족은 이스라엘 수립 후 꾸준히 힘을 키웠다. 책에 따르면 건국 당시 이스라엘의 인구는 80만명 남짓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12배로 늘어나 1천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한국보다 월등하게 높은 합계출산율과 지속적인 알리야(해외 거주 유대인의 이스라엘 귀환) 등에 힘입은 결과로 보인다. 1980·1990년대 전후로 구소련 출신의 유대인 과학자들이 대거 알리야에 동참하면서 이스라엘의 첨단 기술 수준도 급격히 상승했다. 근로자 1만명당 과학기술자 수는 140명으로 미국(85명)과 일본(83명)을 능가하는 수준이다. 2000년 이후 동지중해에서 가스전을 발견하고 생산하면서 이스라엘은 자원 강국의 반열에도 오른다. 이스라엘의 성장은 팔레스타인에는 엄청난 악재였다.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 건국 다음 날인 5월 15일을 재앙의 날이라는 뜻을 담은 '알 나크바'라고 명명한 것에서 이런 인식을 단적으로 엿볼 수 있다. 책은 2023년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침공하면서 펼쳐진 중동 분쟁의 새로운 국면을 조명하고 작년 대선에서 권좌를 되찾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왜 이스라엘을 지지하는지도 살핀다. W미디어. 331쪽.책 표지 이미지[명인문화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한반도 핵무기정치 = 김계동 편저. 이상현·전봉근·김보미·함형필·권보람·김광진·황지환·정성장·이춘근·마상윤·이경석 지음. 북한이 6차례의 핵실험을 거쳐 사실상의 핵무기 보유국 지위를 넘보는 가운데 남한에서 대두하는 핵 자강론, 즉 한국도 핵무기를 개발하자는 주장을 둘러싼 여러 과제와 논란을 전문가들이 검토해 책으로 엮었다. 그동안 북핵 대응은 미국의 핵우산이나 확장 억지를 통해 한반도의 안보 불안을 해소하는 데 중점을 뒀다. 하지만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이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더욱 커진 핵전쟁의 불안감 등으로 이런 식의 대책은 실효성이 없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는 상황이다. 책은 북한의 핵 전력이 남한과 미국의 군사력을 압도할 수 있는지, 북한이 비핵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