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23일 저녁 서울 영등포구 K
작성자  (210.♡.40.224)
23일 저녁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토론회 시작에 앞서 후보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권영국 민주노동당,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 국회사진기자단 처음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주요 주제로 삼은 23일 대통령 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재생에너지를 강조하는 이재명(더불어민주당)·권영국(민주노동당) 후보와 원전을 강조하는 김문수(국민의힘)·이준석(개혁신당) 후보가 맞붙었다. 이재명 후보는 “가동연한이 지난 원전도 안전성 담보되면 더 쓰는 것도 검토”하겠다며, 원전도 활용하기 위해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반면 김문수·이준석 후보는 “(재생에너지 100%를 요구하는 기준인) ‘알이(RE)100’은 구호일 뿐 불가능하다” 등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은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부정하고 원전에 ‘올인’하는 모습을 보였다.이재명 “2060년까지 원전도 활용”이날 토론에서 이재명 후보는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제품만 산다는 게 국제 표준(알이100)이 되고 있는데,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비율은 9%에 머물고 있다”며 재생에너지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다만 원전에 대해서는 “우리의 현실이 있기 때문에 이미 지어진 원전들은 계속 잘 쓰자, 그리고 가동연한이 지났더라도 안전성이 담보가 되면 더 쓴 것도 검토하자 이런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번 대선 기간 동안 과거와 달리 ‘원전을 현실적으로 활용한다’는 태도를 취해왔는데, ‘노후 원전 수명 연장’까지 자신의 입으로 명시적으로 밝힌 것이다.다만 이 후보는 “원전이 위험한 에너지라는 점에 대해선 생각이 여전하다”, “원전(비용)이 당장 싼 것은 맞지만, 폐기물 처리 비용이나 위험을 비용으로 환산할 때 엄청나게 비싼 에너지” 등 장기적으로는 재생에너지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전은 “있는 것만 갖고도 2060년까지 쓸 수 있”으니, “그 사이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중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5일 "비상경제대응 TF(태스크포스팀)를 당선 즉시 가동하고 대통령이 직접 실무까지 챙기겠다"며 내수경제 회복을 위한 전면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민주당사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금은 IMF 못지않은 국난 상황"이라며 "TF는 보고용이나 이름뿐인 조직이 아니다. 실무 책임자들을 불러 직접 조정하고, 필요한 정책은 제가 직접 챙기겠다"고 말했다. 이어 "기재부, 산자부, 중기부 등 주요 부처는 물론 실무자급까지 참여시키는 방식으로 초기 경제위기에 대응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상황이 매우 엄중하다"며 "1·4분기 0.2% 역성장은 국민들의 고통을 수치로 증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필요한 건 산업지원성 추경이 아니라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골목상권을 살리는 민생 추경"이라며 "당장 급한 불을 끌 수 있도록 단기 부양책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또 첨단산업 분야의 규제개혁에 대해 "네거티브 규제로 전면 전환하겠다"고 공언했다. 이어 "AI와 딥테크 같은 산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데, 지금의 허용된 것만 가능한 포지티브 규제로는 도저히 대응할 수 없다"며 "명시적으로 금지된 항목 외에는 모두 허용하는 방식으로 바꾸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후보는 "관료주의와 행정 편의에 의한 규제가 과도하다"며 "이를 철폐하고, 규제개혁 전담 기구를 신설해 신속하게 현장과 기업의 목소리를 반영하겠다"고 했다. 또 "경제는 이념이 아닌 실용으로 풀어야 한다"며 "정치적 잣대로 특정 산업을 규정짓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대통령 당선 즉시 임기를 시작해야 하는 만큼 인수위 기간 없이 바로 위기에 대응해야 한다"며 "국가 운영 시스템 안에서 가장 급한 과제부터 신속하게 실무 중심으로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장이나 도지사 시절에도 주요 현안은 팀장, 과장까지 직접 불러 빠르게 결정했다"며 "대통령이 돼서도 그런 자세로 경제를 챙기겠다"고 강조했다.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25,559 개, 페이지 4063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