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우리 민족의 희로애락을 담던 특별한 노래 형식, ‘타령’은 판소리와 민요에서 그 진가를 발휘해왔다. 느린 가락은 듣는 이의 마음에 깊이 스며들어 때로는 애절함을 자아내고, 때로는 삶의 고단함을 위로했다. ‘흥부가’의 흥부 타령은 가난 속 희망을, ‘춘향가’ 중 옥중 춘향의 타령은 임을 향한 그리움과 절개를 보여주었다. 타령은 서민의 삶과 정서를 전하는 중요한 통로였다.시대가 변하면서 타령은 본래의 풍부한 의미를 잃고,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의미로만 쓰이게 되었다. 반복적으로 불평하는 것은 신세타령, 돈 없다고 푸념하는 것은 돈타령, 다른 일은 다 제쳐놓고 술만 찾는 것은 술타령이라고 부른다. 이런 푸념이나 불평은 듣는 이를 불편하게 만들기도 한다. “또 그 타령”이라는 반응은 공감보다는 짜증을 유발하거나, 단순히 반복적인 이야기를 뜻한다. 이것이 오늘날 타령의 또 다른 의미이다.의미 변화 배경에는 타령의 ‘반복’ 특징이 작용했다. 판소리와 민요 속 타령은 유사...
2030년까지 2조원대 펀드 투자 생태계 조성 추진부산시는 3000억원 규모인 ‘부산 미래성장 벤처펀드’의 자펀드 조성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갔다고 25일 밝혔다.전체의 70%가 넘는 2200억원 규모의 자펀드가 결성됐고, 나머지 800억원도 오는 6월 중 결성될 예정이다.이에 따라 앞으로 3∼4년간 부산지역 기업에 1000억원 이상 집중적으로 투자될 예정이다.또 지난 2월 중소벤처기업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지방시대 벤처펀드’가 올해 2000억원 이상 자펀드를 조성해, 내년부터 본격 투자될 전망이다.한편 부산시는 2030년까지 펀드를 지속 조성해 2조원 규모의 펀드 투자생태계를 구축하고, 부산벤처투자 비율을 지역내총생산(GRDP) 수준인 4.7%까지 확대할 계획이다.부산시가 펀드 조성을 시작한 2000년부터 올해까지 조성된 펀드는 69개, 1조 3422억원이다. 이 가운데 8200억원 규모는 박형준 부산시장 임기 초기인 2021년부터 최근까지 조성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