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 박진선 한양대병원 심장내과 교수폭염기
작성자  (183.♡.113.206)
■ 박진선 한양대병원 심장내과 교수폭염기 ■ 박진선 한양대병원 심장내과 교수폭염기간 심장마비 사망 위험 최대 74% 증가체온조절기능 약화·교감신경 항진돼 심장부담↑고령자·심혈관질환자 등 고위험군 각별히 주의이미지투데이[서울경제] 전 세계적으로 기후 위기가 심화하면서 여름철 폭염의 강도가 커지고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2023년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로 파악된 온열질환자는 사망자 32명을 포함해 2818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80.2% 급증한 수치다. 올해는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기도 전에 온열질환자가 400명을 넘어섰다. 예년보다 빠른 5월 15일부터 가동한 응급실 감시체계를 통해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총 425명이었고, 그 중 사망자는 3명으로 추정됐다. 연령별로는 60대가 18.4%로 가장 많았고 50대(16.5%), 30·40대(각 14.4%) 순이었다. 특히 65세 이상이 29.6%를 차지해 고령층이 폭염에 취약하다는 사실이 재차 확인됐다. 폭염 환경은 심장돌연사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미국심장협회(AHA)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순환기학(Circulation)' 최근호에는 중국 장쑤성에서 2015~2020년 사이 발생한 약 20만 건의 심장마비 사망을 분석한 연구가 실렸다. 이 논문에 따르면 폭염 기간 동안 심장마비 사망 위험은 최대 74%까지 증가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와 심혈관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와 여성에서 심장마비 사망 위험 증가가 두드러졌다. 다른 국제 연구들도 폭염 시 심혈관계 사망률이 평소보다 15% 증가한다고 보고하는 등 유사한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폭염은 우리 몸의 체온 조절 기능을 약화시키고 교감신경계를 항진시킨다. 교감신경계가 항진되면 심박수 증가, 혈관 수축, 혈액 점도 상승을 초래해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된다. 그 결과 협심증, 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질환이 악화될 수 있고 심한 경우 치명적인 부정맥이나 심정지로 이어질 수도 있다. 당뇨병,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등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이러한 환경에 매우 취약하다. 고령자의 경우 기온이 1℃ 오를 때마다 심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0.8~2.1% 증가한다는 연구도 있다. 기저질환이 있다면 이러한 위험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기후변화에 대한 미래 전망은 더욱 암울하다.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2036~2065년 사이 폭염으로 인한 심혈관 사망률은 현재보다 최대 233% 증가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2017■ 박진선 한양대병원 심장내과 교수폭염기간 심장마비 사망 위험 최대 74% 증가체온조절기능 약화·교감신경 항진돼 심장부담↑고령자·심혈관질환자 등 고위험군 각별히 주의이미지투데이[서울경제] 전 세계적으로 기후 위기가 심화하면서 여름철 폭염의 강도가 커지고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2023년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로 파악된 온열질환자는 사망자 32명을 포함해 2818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80.2% 급증한 수치다. 올해는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기도 전에 온열질환자가 400명을 넘어섰다. 예년보다 빠른 5월 15일부터 가동한 응급실 감시체계를 통해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총 425명이었고, 그 중 사망자는 3명으로 추정됐다. 연령별로는 60대가 18.4%로 가장 많았고 50대(16.5%), 30·40대(각 14.4%) 순이었다. 특히 65세 이상이 29.6%를 차지해 고령층이 폭염에 취약하다는 사실이 재차 확인됐다. 폭염 환경은 심장돌연사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미국심장협회(AHA)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순환기학(Circulation)' 최근호에는 중국 장쑤성에서 2015~2020년 사이 발생한 약 20만 건의 심장마비 사망을 분석한 연구가 실렸다. 이 논문에 따르면 폭염 기간 동안 심장마비 사망 위험은 최대 74%까지 증가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와 심혈관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와 여성에서 심장마비 사망 위험 증가가 두드러졌다. 다른 국제 연구들도 폭염 시 심혈관계 사망률이 평소보다 15% 증가한다고 보고하는 등 유사한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폭염은 우리 몸의 체온 조절 기능을 약화시키고 교감신경계를 항진시킨다. 교감신경계가 항진되면 심박수 증가, 혈관 수축, 혈액 점도 상승을 초래해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된다. 그 결과 협심증, 심근경색 등 관상동맥질환이 악화될 수 있고 심한 경우 치명적인 부정맥이나 심정지로 이어질 수도 있다. 당뇨병,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등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이러한 환경에 매우 취약하다. 고령자의 경우 기온이 1℃ 오를 때마다 심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0.8~2.1% 증가한다는 연구도 있다. 기저질환이 있다면 이러한 위험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기후변화에 대한 미래 전망은 더욱 암울하다.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2036~2065년 사이 폭염으로 인한 심혈관 사망률은 현재보다 최대 233% 증가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2017~2021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열 관련 사망률은 2000~2004년 대비 85% 가량 증가했다. 이러한 영향은 당뇨병, 심혈관질환 ■ 박진선 한양대병원 심장내과 교수폭염기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93,166 개, 페이지 34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