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지난 10일 경기 고양시 사단법
작성자  (112.♡.184.58)
지난 10일 경기 고양시 사단법인 트루 사무실에서 자원봉사자가 ‘워터밤’에서 쓰인 뒤 버려진 물총의 물기를 닦고 있다. 강한들 기자 지난 4~6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 야외무대에서 ‘워터 뮤직 페스티벌’ 워터밤이 열렸다. 수만명에 달하는 축제 참가자들은 더위를 달래려 장난감 물총을 쏘면서 케이팝·힙합 등을 마음껏 즐겼다. 축제가 끝난 뒤 SNS 등에서는 이들이 버리고 떠난 물총들이 논란이 됐다. 수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는 신나는 축제의 의미를 퇴색시키기에 충분해 보였다.13일 워터밤 측과 장난감 재활용 전문 환경단체 ‘사단법인 트루’의 설명을 종합하면 이들 물총은 ‘재사용’되거나 ‘재활용’된다.워터밤 측은 축제를 기획하는 지난 4월쯤부터 사용 후 버려진 물총을 어떻게 재사용·재활용할 수 있을지 트루와 협의했다고 한다. 버려진 물총이 쓰레기로 소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이었다.워터밤에서 수거한 물총 1500여개 중 약 3분의 1은 지역 아동센터 등에 기부할 예정이다. 쓰레기 없는 장터를 지향하는 ‘농부시장 마르쉐’에서 “무더위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물총 기부를 요청하기도 했다. 지난 10일 경기 고양시 사단법인 트루 사무실에 ‘워터밤’에서 쓰인 뒤 버려진 물총이 종류별로 분류돼 있다. 강한들 기자 다시 쓰기 어려운 물총은 재활용 단계로 간다. 지난 10일 찾아간 경기 고양시 사단법인 트루 사무실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이 한 손에 수건을 들고 물총의 물기를 닦고 있었다. 물기를 제거한 물총은 크기, 색깔별로 분류된다.분류가 끝나면 ‘분해’를 해야 한다. 물총은 장난감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분해가 쉬운 편에 속한다. 통상 장난감은 크기가 작고 나사, 모터, 고무 등 다양한 부품이 들어간 경우가 많아 ‘복합 플라스틱 폐기물’로 꼽힌다. 하지만 지난 10일 분해한 물총에는 나사 22개와 펌프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됐다. 분해에는 채 5분이 걸리지 않았다. 박준성 트루 사무총장은 “남색은 ‘귀한 재료’”라며 “밝고 빛나는 색깔이 많은 장난감의 특성상 어둡고 칙칙한 색이 귀한 편”이라고 말했다. 지난 10 ▲ 울산 반구천 암각화를 최초로 발견한 문명대(85) 동국대 명예교수. 울산 반구천의 암각화가 국내 17번째로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반구천 암각화 세계 유산 등재에 울산은 물론 전국적으로 환영과 기쁨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초로 발견한 문명대(85) 동국대 명예교수(한국미술사연구소 소장)는 누구보다도 기뻐하는 당사자다. 문 교수는 본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최초 발견자로서 감개무량하며, 지금부터라도 반구천 암각화의 과학적 보존대책 수립과 암각화를 가까이서 볼 수 있도록 전망대 등 시설 조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하 일문일답. -반구천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는데 소감이 남다르실 것 같다"1970년 12월24일에 천전리 암각화를 발견 조사했고, 그 다음해인 1971년 12월25일에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발견 조사했는데 벌써 55년이라는 반세기가 지난 많은 우여곡절을 겪은 후 이 시점에 세계유산이 등재됐다. 50년이상의 우여곡절을 겪고 드디어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게 되어 생애에 국가적으로 국보와 세계적으로 세계유산이 된 사실에 무한한 감동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한마디로 정말 감개무량하다. 특히 발견하고 조사하고 연구한 최초 발견자가 있는 세계문화유산은 거의 없는데 이 반구천 암각화는 발견·조사·연구한 사람이 있다는 사실 또한 유일하다는 점에도 더욱 의의가 있다."-반구천 암각화가 세계유산에 등재될 것이라고 생각하셨나"세계유산 자격은 발견 후에 꾸준히 제기되었지만 수위조절이라는 난관 때문에 지금까지 미루어졌다. 너무 늦은 세계유산 지정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렇지만 한국 유일의 국보중의 국보인 암각화가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세계유산이 된데에 최초 발견자로써 무한한 감동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암각화를 발견하게 된 계기와 처음 발견했을 당시 상황을 설명해달라"천전리 암각화는 1970년 12월24일에 원효스님의 주석 사찰인 반고사를 찾는 과정에서 제가 당시 책임자로 있었던 동국대학교 박물관 조사단이 발견·조사했다. 처음 암각화를 봤을때 '이것은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것이었고,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01,458 개, 페이지 26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