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레플리카사이트 한국이 챗GPT의 국가별 매출 비중에서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했다.
애플리케이션 시장 조사 업체 센서타워가 25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챗GPT 누적 매출 35억달러(5조1300억원)를 국가별 비중은 미국이 13억달러(35.4%)로 가장 높았고 이어 한국이 2억달러(5.4%)를 기록해 2위에 올랐다.
챗GPT는 2022년 11월 출시 이후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대중화된 생성형 AI로 이듬해 2월부터 유료 버전이 도입됐다. 첨단기술 수용도가 높은 한국에선 초기부터 챗GPT 구독자가 빠르게 증가해왔다.
특히 챗GPT를 사용해 본 뒤 지갑을 여는 소비자 비율은 한국과 미국이 거의 차이가 없었다. 챗GPT 다운로드당 매출은 미국 8.8달러, 한국 8.7달러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만 국가별 앱 다운로드 비중은 인도가 15.7%로 가장 높았고 한국은 1.5%에 21위에 머물렀다.
챗GPT의 독주는 국내 앱시장 구도에서도 확인된다. 국내 앱시장에서 챗GPT는 다운로드 1위, 매출 4위를 기록했다. 매출 1~3위가 모두 게임 앱인 점을 감안하면, 비게임 앱 중에선 챗 GPT가 단연 선두라는 얘기다.
국내 AI 어시스턴트 분야에서도 챗GPT는 다운로드·매출·일일 활성 사용자 모두 1위를 기록했고 구글의 제미나이보다 다운로드는 2배, 일일 활성 사용자 수는 8배 앞서고 있다.
아울러 챗 GPT의 방문자 1인당 월 체류시간은 네이버의 1.7배인 367분을 기록했다. 월간 방문 수는 유튜브, 네이버, 구글, 다음에 이어 5위였다.
센서타워는 “단순 검색이나 질문을 넘어 문서 작성, 기획, 분석 등 다양한 생산성 활동이 장시간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라며 “한국 사용자에게 챗GPT는 더 이상 검색 도구가 아니라 일상적인 작업 공간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반영한다”고 평가했다.
대전시와 지역 향토기업 ㈜장충동왕족발이 시즌 한정 ‘한상족발 세트’를 선보인다.
대전시는 28일 대전관광공사, 장충동왕족발과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업은 연말 성수기에 대전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특별 메뉴를 통해 체류형 관광을 확대하고 지역 상권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한상족발 세트’는 장충동왕족발의 정통 족발을 중심으로 특제 소스와 신선 채소, 밑반찬 등으로 구성됐다. 여기에 기존 공동브랜딩 인기 제품인 ‘꿈돌이 라면’이 세트에 포함된 점이 특징이다.
굿즈로는 꿈돌이 족발 키링과 에코백도 함께 제공된다.
이번 제품은 가족·지인과 함께 따뜻하게 즐기는 ‘한 상’ 콘셉트로 설계됐으며, 꿈돌이 한정 패키지로 제작돼 연말 선물용 수요도 겨냥했다.
장충동왕족발은 다수의 직·가맹점을 운영하는 대전 향토 외식기업으로, 엄선된 재료와 표준화된 제조 공정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품질이 강점이다.
대전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브랜드의 장인정신과 꿈돌이 캐릭터의 친근함을 결합해 대전에서만 가능한 특별한 식탁 경험을 제공하기로 했다.
‘한상족발 세트’는 다음달 말부터 시즌 한정으로 대전·충청권역 오프라인 46개 매장에서 우선 출시되며, 추후 전국 매장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향토기업의 정직한 품질과 대전의 캐릭터 스토리가 만나 대전다운 한 상을 완성했다”며 “시즌 한정 한상족발 세트가 시민의 식탁에 따뜻한 연말 정취를 더하고, 방문객에게도 대전만의 미식 경험을 선물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