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이혼전문변호사 경기 화성의 쿠팡 물류센터에서 숨진 30대 노동자의 사인이 “지병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부검 결과가 나왔다.
경기 화성동탄경찰서는 지난 24일 사망한 A씨의 시신을 부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이 같은 내용의 1차 구두 소견을 전달받았다고 25일 밝혔다. 최종 부검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한 달여 가량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쿠팡의 계약직 노동자였던 A씨는 지난 21일 오후 10시 30분쯤 화성시 신동에 위치한 쿠팡 동탄1센터 내 식당에서 갑자기 쓰러졌다. A씨는 심정지 상태로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숨졌다. A씨는 사망 당일 오후 6시부터 이튿날 오전 4시까지 근무하는 것으로 예정돼 있었다.
‘패가망신 1·2호 사건’을 적발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의 성과를 이어가기 위해선 조사 인력 보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불공정거래 조사·심리기관 협의회(이하 조심협)는 25일 제4차 회의를 열고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관련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금융위원회와 검찰,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가 참여하는 조심협은 불공정거래 혐의 포착부터 조사, 수사에 이르기까지 관계기관이 유기적인 대응 체계를 갖추고자 마련된 협의체다.
조심협은 이날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의 조사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금융위·금감원·거래소로 구성된 합동대응단은 앞서 7월 말 36명 규모로 출범해 두 달 만인 9월 ‘슈퍼 리치’들이 연루된 1000억원 규모 주가조작 사건을 적발했고, 10월에는 증권사 고위 임원이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를 포착해 조사 중이다.
각 기관의 칸막이를 없앤 합동대응단은 시장감시부터 강제조사까지 걸리는 시간을 대폭 단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지금보다 조사 역량을 높이기 위해선 인력 확충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금융당국은 불공정거래 조사 과정에서 압수수색과 계좌동결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법무부, 검찰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아울러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지난달 말부터 가동 중인 ‘개인 기반’ 시장감시체계의 성과도 공유됐다. 그간 ‘계좌’에 국한한 시장 감시를 하던 거래소는 계좌주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해 감시 대상이 과다하고 동일인 연계 여부 파악에 어려움을 겪었다.
법 개정으로 가명처리 된 개인정보를 시장 감시에 활용할 수 있게 된 거래소는 불공정거래 사전 예방 등 업무 전반의 효율성이 크게 증대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거래소가 최근 A사 임원의 계좌 12개를 동일인으로 묶어 분석한 결과, 보유·소유 보고와 단기매매차익 반환 의무를 위반한 점이 확인돼 금융위 통보 조치가 이뤄졌다.
이밖에 조심협은 주가조작 세력이 자본시장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원스트라이크 아웃’ 원칙을 시장에 확립하고, 참여기관 간의 공조체계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