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작성자 | (121.♡.144.199) | 작성일 | 25-11-29 03:50 | ||
| 콜백문자어플 ━ 기로에 선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협상 트럼프, 젤렌스키, 푸틴(왼쪽부터) “이제 우크라이나는 핵심파트너(미국)의 지지를 잃느냐 우크라이나의 존엄성을 잃느냐의 지극히 어려운 선택에 직면했다.” 지난 21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TV연설은 우크라이나의 절박한 상황을 대변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의 평화구상을 우크라이나가 추수감사절(27일)까지 수용하지 않으면 대 우크라이나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압박했다. 이 시점에서 트럼프가 새로운 평화구상을 내놓은 이유는 무엇일까. 24일자 뉴욕타임스는 트럼프의 보좌관들이 우크라이나의 부패스캔들과 전장에서 러시아의 군사적 우세가 젤렌스키로 하여금 미국의 평화구상을 수용케 하는 압박이 될 것이라고 믿고, 이 시점에서 평화구상을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종전협상에서 일방적으로 러시아의 편을 들어왔기 때문에 러시아에 편향된 평화구상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러시아 손 들어준 평화구상=미국은 20일 28개조로 구성된 평화구상을 우크라이나에 전달했다. 이 구상은 러시아에게는 아무런 양보를 요구하지 않았다. 핵심내용인 우크라이나 영토 할양, 우크라이나 병력 제한,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금지 조항 등을 보면 러시아에 일방적으로 유리하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점령 중인 돈바스지역 전체를 러시아의 영토로 인정해야 한다. 러시아가 점령하지 못한 도네츠크의 요새벨트도 포함된다. 반면 우크라이나 정규군은 60만 명 수준으로 감축된다. 우크라이나는 헌법을 개정하여 나토가입을 영구적으로 포기하고, 나토규약에는 우크라이나 가입금지를 명시한다. 서방의 대러 제재의 점진적 해제 및 러시아의 G8 복귀도 포함한다. 우크라이나는 100일 내에 대통령선거를 해야 한다. 그래픽=남미가 기자 러시아 끌어들여 중국 견제 노리는 트럼프 반면 우크라이나에 가장 중요한 문제인 안전보장은 모호하다. 러시아 재침공시 우크라이나에 ‘신뢰할 만한 안전보장’을 제공할 것이라고 한 게 전부다 케빈 김 주한 미국 대사대리가 28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힐호텔에서 한미동맹재단 주최로 열린 한미동맹포럼에 초청연사로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케빈 김 주한 미국 대사대리가 28일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북미 정상회담을 했던 사실을 거론하며 "(대북관계에) 모든 옵션 선택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김 대사대리는 이날 서울 용산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동맹재단 주최 제21회 한미동맹포럼에 참석해 "트럼프 대통령은 피스 메이커이고 전에 없었던 방법을 사용하는 분"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 지역에서 좋은 해결책을 도출한 바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전 세계 평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한반도 평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 후 내년 4월 중국 방문을 공식화한 가운데, 이를 계기로 제기되는 북미 접촉 가능성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는 한미 안보 협력에 대해선 "무엇보다도 공동의 도전 과제를 한반도뿐만 아니라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해결하는 게 중요하다"며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한반도와 인·태 지역의 억지력을 강화하고 평화와 안보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렇기에 우리가 직면하는 위협에 대해 함께 평가하는 게 중요하다. 연합된 위협 평가를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미동맹이 대북 억지뿐 아니라 중국 견제에도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미국 측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김 대사대리는 중국이 오는 2027년 대만을 점령할 가능성에 대한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의 질문에 "가능성에 대해선 말씀드릴 수 없다"면서도 "중국의 군사 능력은 크게 증대되고 있고 대만은 중국 정부의 주요 관심사"라고 답했다. 이어 "어떠한 일이 일어나든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해협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인·태 지역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 중국 입장을 대변하는 듯한 비판을 쏟아내며 미국이 역내 국가들을 위협하는 무력시위를 계속한다면 자신들도 '필수적 권리행사'에 나서겠다고 위협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논평에서 "국제사회의 거듭되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상습적으로 감행되고 있는 미국의 콜백문자어플 |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