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의정부검사출신변호사 학교 수업이 끝난 후인 지난 26일 오후 4시 10분, 서울 마포구 합정동 ‘누구나 운동센터’에 6명의 발달장애 학생이 차례로 들어왔다. 전체 수강인원은 8명이지만 감기 등 건강상 문제로 이날은 2명이 결석이다.
수강생은 가장 어린 초등학교 4학년 채린양(가명)부터 고등학생 희찬군(가명)까지 다양하다. 발달장애 유형도 제각각이다. 학생들은 일주일에 2번씩 다함께 체육 수업을 받는다.
누구나 운동센터 프로그램 중 하나인 ‘통합특수체육’ 수업을 맡은 천호정 체육강사가 아이들에게 인사를 건넸다. 이윽고 바닥에 놓인 고깔을 따라 다같이 천천히 걸었다, 빨리 걸었다를 반복하며 수업 분위기를 띄웠다.
은우(가명)는 함께 걷기를 거부했지만 조유진 사회복지사는 “처음에는 이 공간에 들어오는 것도 힘들어하던 학생이라 지금도 엄청나게 큰 발전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발달장애인들은 지체장애인처럼 두드러진 신체장애는 없지만, 등이나 허리가 굽거나 관절이 뒤틀리는 경우도 많다. 천 강사는 수강생들이 다리를 들어 올리고, 팔을 뻗거나 허리를 숙이며 앞으로 뻗을 수 있는 각종 스트레칭 운동을 차례로 가르쳤다.
발달장애인은 제각각의 특성이 있다. 천 강사를 비롯해 수업을 지원하는 보조강사와 장애인일자리 직원은 모든 학생이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칭찬하고 달래며 수업을 이어나갔다.
조 사회복지사는 “프로그램 신청을 받을 때 보호자께 발달장애 학생이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행동 특성 등 개별적인 특징을 물어본다”며 “이곳 프로그램은 아이를 수업에 맞추는 게 아니라 수업을 아이에게 맞추는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곳에서 일하는 장애인일자리 직원은 은우가 수업을 거부하며 울음을 터트리자 말없이 다가가 안아주기도 했다.
마포구에는 어린아이부터 어르신, 장애인, 직장인 ‘누구나’ 함께 어울려 운동을 할 수 있는 ‘누구나 운동센터’가 있다. 지난 2024년 4월 공덕점에 이어 올해 3월부터 합정점도 문을 열었다. 프로그램마다 수강생이 가득 찰 정도로 인기가 높다.
특히 수업을 마치고 복지관이나 집 외에는 갈 곳이 마땅하지 않은 발달장애 학생들에게 이곳은 또 다른 선택지로 기능한다. 이지영 센터장은 “수강료를 내고 수업을 선택해 받을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것 자체가 발달장애인 가족에게는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누구나운동센터 합정점은 마포장애인가족지원센터가 운영을 맡고 있지만, 장애인만을 위한 운동공간은 아니다.
누구나운동센터의 공간은 단 하나다. 하나의 공간이지만 벽면부터 바닥 면까지 미디어아트가 가능하도록 만들어 프로그램에 따라 공간을 재구성할 수 있는 게 이곳의 특징이다. 시간대별로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수강생의 장애 유무, 나이와 상관없이 누구나 수업을 들을 수 있는 공간으로 매번 새롭게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오전시간대에는 어르신을 위한 필라테스·라인댄스·실버체조 수업이 큰 인기다. 중장년을 위한 체육수업, 직장인을 위한 에어로빅·요가·K팝댄스·PT·GX토탈댄스 등도 월~금요일 시간대별로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조유진 복지사는 “필라테스, 라인댄스 등은 어르신들에게 인기가 많아 한 번에 15~25명이 수업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퇴근시간대 에어로빅, 요가 등 프로그램은 직장인들에게 인기가 높다. 단체별 일일체험 운동도 지원한다. 수업은 1회당 2000원만 내면 된다. 주 2회 수업 기준 한 달 1만6000원이다.
마포구 관계자는 “누구나 운동센터는 장애의 유무가 선택의 제약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구청장의 생각이 그대로 담긴 공간”이라며 “마포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계속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26일 LG유플러스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두 회사는 이번 협약에 따라 금융·통신 데이터를 결합한 인공지능(AI) 기반 예방체계를 함께 구축한다. KB국민은행은 거래 패턴 등을 활용해 고위험 거래 유형과 이상 징후를 분석하고, LG유플러스는 AI 통화앱 ‘익시오’의 실시간 탐지 기능 등을 통해 보이스피싱에 자주 활용되는 통신 기반 데이터를 선별한다.
두 회사는 이러한 분석 역량을 결합해 고위험 통화와 연계된 이체나 인증 과정에서 실시간 경고와 추가 인증 절차를 제공하는 공동 대응체계를 만들 예정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보이스피싱을 더 정교하게 차단해 국민들의 소중한 자산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