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코오롱하늘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4번째 발사를 위한 준비를 마쳤다. 이번 4번째 누리호는 역대 누리호 가운데 위성을 가장 많이 실었으며, 처음으로 민간 기업이 제작을 주관했다. 기술 점검 결과와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주변 날씨가 발사에 적합하다면 누리호는 27일 0시54분 우주로 떠난다.
25일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누리호를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기립’하는 작업을 이날 오후 1시36분 완료했다고 밝혔다. 기립은 실내 시설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준비가 끝난 발사체를 우주로 날려보내기 직전 야외로 꺼내 발사대에 세우는 절차다.
누리호는 이날 오전 9시 무진동 차량에 실려 나로우주센터 내 조립동에서 나왔으며, 10시42분 발사대에 도착했다. 포장도로로 연결된 조립동과 발사대 사이 거리는 1.8㎞다. 이 거리를 약 1시간40분 동안 주행했다. 사람이 산책하는 속도보다 훨씬 느리게 누리호를 옮겼다는 뜻이다. 안전을 위한 조치다.
당초 누리호 이송은 오전 7시20분 시작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비 예보가 나오면서 이송 시작 시점이 미뤄졌다. 이 때문에 누리호를 발사대에 이송 완료한 시점도 다소 늦어졌다. 우주청은 누리호 발사 시점은 당초 계획대로 27일 0시54분으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우주청은 누리호 기립이 완료된 이날 오후 ‘엄빌리컬 타워’와 누리호를 각종 케이블로 연결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늦어도 26일 오전까지는 종료될 예정이다. 엄빌리컬 타워는 발사대에 서 있는 높이 48m짜리 녹색 탑으로, 누리호에 전원과 추진제(연료·산화제) 등을 공급하는 시설이 갖춰져 있다.
엄빌리컬 타워를 중심으로 한 점검 작업에서 이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이제 남은 주요 절차는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 개최다. 발사관리위원회 개최 시점은 26일 저녁이다. 누리호를 언제 쏠지를 최종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기술 점검 결과와 기상, 우주 물체 접근 상황 등을 고려한다. 우주청은 발사관리위원회 논의 결과를 26일 오후 8시15분 브리핑할 예정이다.
발사관리위원회에서 누리호를 예정대로 27일 0시54분 쏜다는 발표가 나오면 26일 오후 9시쯤부터 누리호 동체에 연료(케로신)와 산화제(액체산소)를 넣기 위한 절차가 시작된다. 발사 10분 전부터 컴퓨터를 통한 자동 카운트다운이 개시된다. 이 과정에서도 별문제가 없다면 누리호는 마침내 지상을 박차고 하늘을 향해 솟구친다.
누리호에는 총 13기 위성이 탑재됐다. 역대 누리호 가운데 가장 많다. 오로라와 우주 플라스마 등을 관측하는 중량 516㎏짜리 차세대 중형위성 3호와 총중량 79㎏인 초소형 위성(큐브위성) 12기가 실린다. 위성이 올라갈 고도는 600㎞다.
4차 누리호 발사는 체계종합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 제작을 주관한 것도 특징이다. 체계종합기업은 누리호 기술 노하우를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전수받는 민간 업체다. 누리호 발사체 제작은 2023년 3차 발사까지는 항공우주연구원이 맡았지만 이번에는 그 역할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넘겨받았다.
우주청은 “향후 누리호 관련 작업 일정이 기상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다.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누리호가 발사되는 27일 새벽까지는 나로우주센터 주변에 발사에 지장을 줄 정도의 비나 강풍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24일 소비자가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김치를 보고 있다. 이날 관세청 수출입통계를 보면 올해 김치 누적 수출금액은 전달 기준 1억3739만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김치 수입도 같은 기간 1억5946만달러로 역대 최대였다.
<연합뉴스>
전국공무원노조 법원본부 조합원들이 24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 앞에서 조희대 대법원장 사퇴에 대한 법원공무원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손팻말을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