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호주, 유럽, 동남아시아 국가 등을 포함한 유엔 회원국 44개국은 24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내고 온라인 사기를 통한 인신매매 증가에 우려를 표하고 국제 사회의 공동 대응을 촉구했다. 이번 공동성명은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 범죄 관련 인신매매 피해가 급증한 한국이 주도했다.
44개국 대표들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유엔총회 인신매매 대응 고위급 회의 개최에 앞서 약식 기자회견을 열고 “인신매매 가해자들은 분쟁과 경제적 어려움, 디지털 플랫폼을 악용해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고 피해자들은 강제노동, 성 착취 및 여러 형태의 인권유린으로 고통받고 있다”며 “이런 현실에서 자유로운 국가는 없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우리는 온라인 사기 및 초국가 조직범죄와의 연계 등 기술을 이용한 인신매매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 깊이 우려한다”며 “무수한 사람들이 속임에 빠져 강요된 범죄를 저지르거나 고문과 심각한 착취를 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44개국은 “인신매매 문제에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예방, 처벌, 보호, 공조가 필요하고 여기에는 대중의 인식 강화, 피해자 식별, 법 집행 강화, 생존자 역량 강화, 사법 접근 및 구제 보장 등이 포함된다”며 “정부, 민간, 시민사회를 포함하는 지역적 및 전 세계적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견에서 공동선언문은 차지훈 주유엔 대사가 44개국을 대표해 낭독했다. 앞서 20대 한국인 대학생이 캄보디아에서 범죄 조직원들에게 감금돼 고문으로 살해된 사건이 알려지면서 한국은 물론 아시아 지역에서 온라인 사기 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된 바 있다. 이날 공동선언문에는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대거 참여했다.
유엔총회는 2010년 채택된 인신매매 대응을 위한 글로벌 행동계획 이행 점검을 위해 2013년부터 4년마다 고위급 회의를 열어왔다.
아날레나 베어보크 유엔총회 의장은 이날 고위급 회의에서 “우리는 인신매매와 관련해 디지털이 가져온 새로운 전선과 맞부닥쳐야 한다”며 “인신매매 가해자들은 이제 인공지능(AI) 도구, 딥페이크 기술을 사용하여 가짜 인물을 만들고 범죄 네트워크를 숨긴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사법제도 틀도 기술 발전에 맞춰 변해야 한다”며 “이는 디지털 인신매매 네트워크를 탐지하고 방해하고 해체하기 위해 현대화된 법률과 업데이트된 규준, 강화된 국가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자위대 개입 가능성’ 발언으로 촉발된 중·일 갈등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호한 태도를 보이면서 일본 내에서 미국의 일본 ‘패싱’에 대한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26일 보도했다.
아사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통화를 한 뒤 다카이치 총리와 대화한 사실을 거론하며 “다카이치 총리가 미·중 통화 내용에 대해 사후 보고를 받는 형식이 되긴 했지만 일본 측에서는 총리의 대만 유사시 발언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을 불안해하고 있다”며 “가장 큰 우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라고 전했다.
전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중국에 대만 문제가 중요하다는 점을 이해한다”는 말을 했다고 전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 문제 거론 여부 자체를 언급하지 않았다.
일본 측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말 부산에서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후 미·중을 주요 2개국(G2)이라고 표현한 것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미국이 서태평양을 중국의 세력권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일본으로선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일본 측은 미국이 중국과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 문제를 언급하지 않는 이유인 것으로 보고 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4월 베이징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열겠다고 발표했다. 아사히는 “일본 정부는 미·중이 일본을 건너뛰고 일을 진행하는 상황을 경계해왔다”며 “이런 위험이 현실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어 일본 정부 내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미국을 사이에 두고 일본과 신경전을 이어갔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이날 사설에서 “일본은 ‘대만을 이용해 중국을 제어하는’ 정책을 추진하면 미국의 환심을 살 수 있다고 여기지만 이는 명백한 오판”이라고 밝혔다. 환구시보는 이어 “일본 우익이 도전한 것은 14억 중국 인민의 국가 주권과 영토 수호 의지뿐 아니라 미국을 포함한 2차 대전 승전국들이 함께 구축하고 수호해온 전후 질서”라고 말했다.
25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해양모빌리티·안전 엑스포’에서 외국인 관람객들이 조이스틱 컨트롤러로 조종하는 문보트를 살펴보고 있다. 27일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는 북극항로 특별관, 해양모빌리티·안전사고 예방 홍보전, 기술 및 기자재 산업전 등을 선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