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소년사건변호사 학교에는 학생과 선생님만 있는 게 아니다. 강사·여사님으로 불리는 ‘선생님 아닌 선생님’들이 일하는 또 다른 교실이 있다. 이들이 없다면 학교는 금세 멈춰 설 것이다. 그럼에도 ‘선생님’이라 불리지 못하는 이들의 처우는 늘 뒷전이다. 급식실 노동자들은 낮은 보수와 강도 높은 노동에 건강까지 위협받고 있다. ‘죽음의 급식실’이란 원성이 자자하다.
[플랫]‘멈춰야’ 비로소 보이는 ‘급식조리사’의 노동
급식·돌봄을 담당하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지난 20일부터 권역별 릴레이 파업에 들어갔다. 열악한 노동환경과 임금체계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자 불가피하게 꺼내든 카드다. 이들의 기본급은 206만6000원으로, 최저임금(209만6000원)에도 못 미친다. 급식실은 일이 힘들기로 악명이 높다. 무거운 식자재를 쉴 새 없이 나르고 뜨거운 불 앞에서 대량으로 요리를 만들어야 한다. 발암물질인 기름 매연을 들이마시며 일하다 지금까지 178명이 폐암 산재 판정을 받았고, 15명이 사망했다. 학생들이 누리는 ‘정상적인 급식’은 급식노동자의 과로와 고통의 산물이다.
이런 사정을 정부와 교육당국이 모를 리 없건만, 땜질식 처방만 난무한다. 인력을 충원하고 환기시설을 개선해달라고 했더니, 조리 로봇을 도입하는 식이다. 로봇 구입에 들어가는 예산을 시설·처우 개선에 썼더라면 형편은 나아졌을 것이다. 그래놓곤 학생들을 볼모로 한 파업은 절대 안 된다고 한다. 정작 학생들을 방패 삼아온 것은 국가와 교육당국 아닌가.
“감사합니다! 이 말 들으려다 숨 못 쉬는데/ 감사합니다! 이 말 들으려다 목이 쉬는데/ 감사합니다! 이 말 들으려다 열이 나는데/ 당신은 정말 감사합니까?”
지난해 학교급식실 폐암대책위가 진행한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김용현 학생의 시 ‘감사합니다’ 일부분이다. 마지막 질문은 국가에 던지는 것이라는데, 대답이 궁금하다.
무언가에 익숙해지면 고마움을 모르게 된다. 매일 도시락을 싸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이 수고를 부모를 대신해 급식노동자들이 해왔다. 이들의 건강권은 자신만이 아니라 아이들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불편을 감수하고 급식노동자들의 파업에 공감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은 이유도 그래서일 것이다.
▼ 이명희 논설위원
잉글랜드 9부리그 무명 스트라이커였던 리처드 코네(22·QPR)가 불과 2년 만에 코트디부아르 국가대표가 돼 월드컵 출전을 향한 꿈을 이어가고 있다. 16세 때 노숙을 했던 소년이 2026 북중미 월드컵을 꿈꾸는 대표팀 공격수로 성장하기까지 극적인 이야기를 BBC가 25일 소개했다.
코네는 2019년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거리에서 노숙을 했다. 그러다 잠재력을 알아본 지인의 소개로 코트디부아르 스트리트사커 단체 ‘돈트 포겟 뎀(Don’t Forget Them)’ 관계자를 만났고, 그해 카디프에서 열린 홈리스 월드컵에 출전하며 처음 비행기를 타고 해외로 나섰다.
대회를 마친 코네는 영국 런던 해크니로 옮겨 생활했다. 혼자 공을 차고 있던 그를 알아본 사람이 있었다. 10부리그 애슬레틱 뉴엄의 케네디 타바레스 회장이었다. 타바레스 회장은 “첫눈에 특별한 재능이 보였다”고 회고했다. 당시 팀 훈련에 합류한 코네는 데뷔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2019년부터 2023년까지 148경기에서 125골을 넣으며 하부리그 ‘골잡이’로 입지를 굳혔다.
무명 공격수의 폭발적인 득점력은 결국 프로 눈길도 사로잡았다. 2024년 1월, 코네는 리그원(3부) 위컴 원더러스에 입단했다.
그는 이적 직후 9분 만에 기록한 리그 역사상 구단 최단시간 해트트릭을 포함해 2024~2025시즌 21골을 터뜨리며 팀을 플레이오프 준결승까지 이끌었다. 그 활약으로 리그원 올해의 선수와 영플레이어상을 동시 수상했다. 이후 수많은 챔피언십(2부) 팀들이 관심을 보였고, 지난 8월 퀸스파크 레인저스(QPR)가 코네를 영입했다. QPR에서도 질주는 계속됐고, 코네는 지난 19일 오만과의 평가전에서 A대표팀 데뷔전을 치르며 마침내 국가대표 유니폼을 입었다.
코네는 “2년 전만 해도 상상하지 못했다”며 “국가대표로 뛰고 아프리카네이션스컵, 월드컵까지 나가는 것이 내 꿈이었다”고 말했다.
그를 지도한 애슬레틱 뉴엄 관계자들은 “항상 겸손했고 배움을 갈망했다”며 그의 성실함을 성공의 이유로 꼽았다. 홈리스 월드컵 조직위원회도 “코네의 성공은 축구가 가진 삶의 변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BBC는 “노숙 청소년이 9부리그를 거쳐 프로 무대, 국가대표까지 오른 여정은 지금도 진행 중”이라며 “다음 무대가 2026년 월드컵이 될지 지켜볼 일”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