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기부전치료제구입 넷플릭스 인기 드라마 <더 글로리>에 등장했던 900살 된 은행나무 ‘청주 압각수’가 천연기념물이 된다.
26일 충북 청주시에 따르면 국가유산청 자연유산위원회는 지난 25일 동식물유산분과 회의를 열고 ‘청주 압각수’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는 안건을 검토해 가결했다.
청주 압각수는 상당구 남문로2가 중앙공원에 있는 은행나무다. ‘압각수’는 잎이 오리의 발을 닮아 오리 압(鴨)과 다리 각(脚)을 써서 은행나무를 부르는 별칭이다. 1976년 충북기념물 제5호로 지정됐다.
이 나무의 나이는 900살로 추정된다. 높이 23.5m, 지표면에서 약 1.2m 높이에서 잰 둘레는 8.5m나 된다.
청주 압각수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 여러 문헌에 등장하는 나무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1390년(고려 공양왕 2년) 청주에 큰 홍수가 났을 때의 일화가 기록돼 있다. 당시 억울한 누명을 쓰고 인근 감옥에 갇혀 있던 목은 이색(1328∼1396) 등 여러 학자가 물이 차오르자 압각수에 올라가 목숨을 건졌다는 내용이다. 조선 후기 청주읍성의 모습을 그린 ‘청주읍성도’에도 청주 압각수의 모습으로 추정되는 은행나무가 있다.
이 나무는 넷플릭스 드라마에 등장해 더욱 유명해졌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더 글로리>에서 극중 주인공인 문동은(송혜교)이 주여정(이도현)에게 바둑을 배우는 곳이 바로 중앙공원에 있는 압각수 앞이다.
윤희봉 청주시 문화유산관리팀장은 “청주 압각수의 수령은 900년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2015년 가지가 부러진 것 이외에는 건강상태가 양호한 편”이라며 “천연기념물 승격이 확정되면 국비 지원을 받아 압각수를 관리하고 다양한 활용 사업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강원 삼척시 근덕면 소한계곡 일대에서 자생하는 ‘민물김’이 갱년기 건강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삼척시는 지역 특화 자원인 ‘민물김’의 갱년기 건강 개선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됐다고 25일 밝혔다.
그동안 삼척시 수산자원센터는 성균관대 조재열 교수팀과 공동으로 ‘민물김 추출물의 건강 증진 및 갱년기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연구팀은 지난해부터 난소를 절제해 갱년기 상태를 유도한 실험 쥐를 활용해 1년여간 효능 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 민물김 추출물을 섭취한 집단에서 갱년기의 대표적 호르몬 불균형 증상인 난포자극호르몬(FSH)과 황체형성호르몬(LH) 수치의 비정상적인 증가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갱년기 여성의 주요 고민 중 하나인 급격한 체중 증가 현상도 유의미하게 억제됐다.
노년기 삶의 질을 좌우하는 뼈와 근육 건강에서도 뚜렷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3D 정밀 촬영(Micro-CT) 분석 결과, 민물김 추출물은 난소 절제로 인해 감소했던 골밀도를 회복시켰고, 근육 섬유화(노화)를 억제해 근 기능 저하를 막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밖에 갱년기에 발생하는 면역세포의 불균형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해 면역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효과가 체내 ‘AP-1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발휘된다는 구체적인 작용 기전(Mechanism)까지 규명해 냈다.
삼척시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민물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 예방용 조성물’과 ‘뼈 건강 개선용 조성물’ 등 2건의 특허 출원을 마친 데 이어 근 기능 개선 관련 특허도 출원할 예정이다.
민물김이 자생하고 있는 삼척시 근덕면 소한계곡 일대는 연중 수량이 풍부할 뿐 아니라 태고의 신비를 느낄 수 있는 원시림 등 우수한 자연생태환경을 갖추고 있다.
차고 맑은 물에서만 돋아나는 민물김의 100g당 칼슘 함유량은 바다김(86㎎)의 14배인 1200㎎에 달한다.
철분도 바다김보다 1.4배 많고 각종 미네랄이 풍부해 조선 시대 왕에게 진상했던 고급 식품이다.
민물김은 한때 지역주민들이 미역 대신 산후조리에 썼던 친근한 먹을거리였다.
하지만 자생 규모가 점차 줄어들면서 1980년대 연간 15만 장(1500톳)에 달했던 생산량은 2009년부터 1000여 장(10여 톳)으로 감소했다.
삼척시는 2018년부터 민물김연구센터를 설립해 민물김의 종 보전과 효능분석, 대량증식에 관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삼척시 관계자는 “오는 2026년부터 민물김의 산업화와 보전을 위한 후속 연구에 돌입할 예정”이라며 “앞으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삼척 민물김의 가치를 높이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