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루치료제구입 지난 주말 ‘이’를 점검하러 치과에 갔다. 다행히 별문제가 없어 스케일링, 치석 제거만 받고 끝냈다. 정기적인 과정이지만 윙~ 날카로운 기계음에는 도무지 익숙해지지 않는다.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니 온몸에 힘이 잔뜩 들어간다.
‘이’는 ‘치아’ 또는 ‘이빨’이라고도 한다. 국어사전에서는 ‘치아’를 ‘이를 점잖게 이르는 말’이라고, ‘이빨’은 ‘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이에 ‘이빨’은 짐승에게만 써야 한다고도 한다. 반면에 ‘이빨’은 ‘이+사이시옷+발’에서 온 단어이며 ‘발’은 긴 모양을 가진 것을 뜻해, 이빨은 이가 나란히 늘어서 있는 모양을 표현한 말이란 반박도 있다. 한자어 ‘치아’가 격식 있는 말은 맞지만 그렇다고 우리말 ‘이빨’이 낮춤말은 아니란 것이다. ‘이빨이 아프다’ ‘이빨을 닦다’ 등 일상에서 많이 쓰고 있기도 하다.
비유적 표현에도 자주 등장한다. ‘앓던 이가 빠지다’는 평소에 몹시 근심하거나 걱정하던 일이 해결되어 속이 시원함을 나타낸다. 힘이나 권세를 잃고 약해진 상태를 ‘이빨 빠진 호랑이’라고 하는데, 호랑이에게 이빨이 없다니 먹잇감이 된 동물에겐 다행스럽겠지만 호랑이에겐 불행이 아닐 수 없다.
‘이 아픈 날 콩밥 한다’라는 말도 있다. ‘치통이 있을 때 콩처럼 딱딱한 음식을 먹게 된다’는 것인데 상상만 해도 멀쩡한 이가 아파오는 듯하다. 비슷한 표현으로는 ‘엎친 데 덮친 격’ ‘설상가상’이 있다. ‘참을 수 없이 분하다’란 뜻의 ‘치가 떨리다’에서 ‘치’도 ‘이’다. 그래서 ‘이가 떨리다’라고도 한다. 말재주가 좋은 사람에게는 ‘이빨이 세다’고 하는데 어떤 상황에서도 침착하고 논리정연한, 이빨이 센 사람이 부럽다.
건강한 이는 신체의 다섯 가지 복 중 하나라고 한다. 음식을 씹고 뜯으며 배를 채우고 맛을 즐기는 것과 직결돼 있다 보니 이가 나빠지면 먹는 것부터 고역이 되고 삶의 질이 급격히 떨어진다. 그런 만큼 ‘치아’든 ‘이빨’이든 관리가 중요하다. 이가 시리거나 잇몸이 붓거나 증상이 뚜렷해지고 통증이 시작되면 이미 늦었다고들 한다. 그리되기 전에 치과와 좀 더 친해져야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25일 전화 통화하는 방향으로 최종 조율 중이라고 후지뉴스네트워크(FNN)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한 상황에서 대만 문제 관련 논의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매체는 트럼프 대통령이 다카이치 총리 측에 통화를 요청했다고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FNN은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를 했다. 다카이치 총리에게 시 주석과 통화에 관해 설명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다카이치 총리에게 대만 문제와 관련해 어떤 인식을 보여줄지 주목된다”고 했다.
앞서 신화통신은 전날 미중 정상 간 통화 사실을 알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중국은 제2차 세계대전 승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고, 미국은 중국에 있어 대만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관영매체가 이같은 발언을 전한 것은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으로 중국이 격하게 반응하는 상황과 관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통화 내용을 소개한 SNS 글에서 대만 문제나 중일 갈등에 대해 거론하지 않았다.
앞서 다카이치 총리는 이달 7일 중의원(하원) 답변 도중 “(중국이) 전함을 동원한 무력행사를 한다면 존립위기 사태로 볼 수 있다”고 발언했다. 존립위기 사태는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상황으로, 일본 현직 총리가 대만 유사시와 관련해 이같이 발언한 것은 처음이다. 이후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중단하며 보복에 나섰다. 주일 중국대사관이 군국주의 국가에 대한 군사 행동 권리를 규정한 유엔헌장 내 ‘적국 조항’을 언급해 국제 여론전에 나섰다는 해석도 나왔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기하라 미노루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중 정상 간 통화에 대해 “미중 관계 안정은 일본을 포함한 국제사회에 매우 중요하다”면서도 중국 측 발표 내용에 대해선 “하나하나 논평하는 것은 자제하겠다”며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