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구정구입 반도체 호황과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이달 기업 체감경기가 1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지난해 12·3 불법계엄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기업경기조사 결과를 보면, 11월 전 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1.5포인트 오른 92.1로 집계됐다. 지수는 전월 1포인트 내렸다가 이달 상승 전환해 지난해 10월(92.5)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중 주요 지수(제조업 5개·비제조업 4개)를 바탕으로 산출한 심리지표다. CBSI가 100을 웃돌면 경제에 대한 기업 인식이 장기평균(2003∼2024년)보다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CBSI(92.7)는 전월보다 0.3포인트 올랐다. 대기업(+0.7포인트)과 수출기업(+1.5포인트)은 올랐지만 중소기업(-0.5포인트)과 내수기업(-0.7포인트)은 떨어져 제조업 내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비제조업 CBSI(91.8)는 자금 사정(+1.0포인트), 채산성(+1.0포인트) 등이 개선되면서 2.3포인트 올랐다.
12월 CBSI 전망치는 제조업이 0.9포인트 하락한 91.7, 비제조업은 0.5포인트 상승한 90.7로 집계됐다. 전 산업은 91.1로 전월과 같았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영업일수가 (10월보다) 늘어난 가운데 반도체 호황 지속으로 제조업이 상승하고, 비제조업도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도소매업 중심으로 개선됐다”며 “(다만) 지수가 장기평균을 하회하는 수준인 만큼 아직 좋은 상황으로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11월 BSI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전월보다 상승했다. 제조업에선 전자·영상·통신장비, 금속가공, 석유정제·코크스 등이, 비제조업에선 도소매업, 정보통신업, 운수창고업 등이 개선됐다.
이번 조사는 이달 11~18일 전국 3524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25일 서울 명동 사옥에서 데이터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하나 DxP(Data eXpert Program) 과정’ 3기 수료식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하나 DxP 과정은 그룹 내 관계사에서 선발한 핵심 인재들을 AI(인공지능) 시대의 금융 데이터 전문가로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지난 2022년 데이터 전문 인력 2500명을 양성하는 ‘2500 by 2025’ 목표를 세웠던 하나금융은 3기 수료생 배출로 해당 목표를 달성했다.
하나금융은 오는 2027년까지 데이터 전문 인력 3000명을 키우는 ‘3000 by 2027’ 계획도 새롭게 수립했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AI와 디지털 경쟁력이 금융의 미래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며 “이를 뒷받침할 데이터 인재 양성에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