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최음제구매 최근 인도 지방선거에서 선심성 공약 경쟁이 잇달아 지방정부의 재정 건전성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BBC는 18일(현지시간) 보도에서 최근 집권 인도국민당(BJP) 연합이 인도 동부 비하르 주의회 선거에서 접전 예측을 뒤집고 압승을 거둔 배경으로 여성 유권자 대상 1만루피(약 17만원) 지급 공약에 주목했다. 인도에서 ‘가장 가난한 주’로 꼽히는 비하르주에서 올해 여성 투표자 수는 사상 처음으로 남성을 뛰어넘었다.
BJP는 지난해 마하라슈트라주 선거에서도 여성 유권자 대상 현금성 공약을 내세워 1995년 이후 가장 높은 투표율(66.05%) 속에서 압승을 거뒀다. 이들이 여성 유권자에 주목한 이유는 오랜 기간 투표가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진 인도에서 여성의 투표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선거 승리에 필요했기 때문이다. BBC는 최근 인도에서 선심성 공약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이어진다고 봤다.
현금 지금과 같은 지원 방식은 인도의 오랜 ‘레브디 문화’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레브디는 인도의 전통 사탕 이름으로 정부의 포퓰리즘성 무상지원 정책을 뜻하기도 한다. 타밀나두주의 드라비다 진보당이 한때 모든 가정에 무료 컬러 TV를 제공하겠다고 공약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과거 레브디 문화를 “달콤한 과자를 함부로 나누는 행위”에 비유하며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다.
문제는 선심성 공약 경쟁이 갈수록 과열되고 있다는 점이다. 비하르주는 주 국내총생산(GDP)의 약 6%에 달하는 재정적자를 가진 상태였지만, 이번 선거를 앞두고 주 GDP의 약 4% 규모에 달하는 현금성 지원책을 발표했다. 앞서 마하라슈트라주에서도 현금성 공약으로 재정적자가 0.4%포인트 증가하자, 주정부는 일부 공약을 철회한 바 있다. 인도 증권사인 엠카이 글로벌은 이런 현상을 두고 “선심성 정책의 늪에 빠졌다”고 평가했다.
인도 중앙은행은 이러한 관행이 재정 건전성을 약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앙은행은 ‘2024~2025년 주정부 재정보고서’에서 선심성 정책이 주 부채의 주요 위험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특히 농가 대출 탕감, 무료·저가 전력·교통·가스 지원, 농민·청년·여성 대상 현금 지급 등 구체적 위험 정책을 명시했다.
다만 현금성 공약이 선거에서 효과를 보이는 만큼 이러한 관행이 당장 바뀌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엠카이 글로벌은 “이번 비하르주 선거 결과는 지난 2년간 주 전역을 휩쓴 선심성 정책 경쟁을 더욱 강화하는 신호”라며 “내년 타밀나두·케랄라·서벵골 등 주요 주선거를 앞두고 경쟁은 계속될 것”이라고 했다.
음악을 말로 설명해내기란 어렵다. “퓨처베이스 기반의 일렉트로닉 팝”이라거나 “키치한 훅이 중독적”이라거나… 가수들이 외워 말하는 곡 소개가 직관적이었던 적은 드물다. 직접 이 곡이 왜 좋은지를 설명하려다 보면 표현력의 한계에 부딪히기 십상이다. ‘그냥’ 귀에 듣기 좋은 게 좋은 것 아니겠나.
MBC 라디오 간판 장수 프로그램 <배철수의 음악캠프>의 작가인 저자는 음악을 말로 풀어 소통하는 그 어려운 일을 18년간 해왔다. 책은 방송·칼럼·강연을 통해 음악 이야기를 나눠 온 그의 첫 음악 산문집이다.
100여개의 명반과 곡이 소개되는 책의 부제는 “이것은 음악평론이 아니다”이다. 십수 년간 음악을 적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언어의 영점을 조정해 온 저자이기에, 그의 글에서는 평론가의 향기가 난다. 다만 매 곡과 앨범을 저자가 왜 아끼고, 어느 순간부터 좋아하게 되었는지를 꼼꼼히 정리한 기록은 평론보다 사적이다. 그의 플레이리스트는 이글스와 라디오헤드부터 레드벨벳과 악뮤까지 지역과 시대를 막론한다. 곡·앨범마다 2~3장 분량으로 한 곡을 다 듣기 전에 글이 끝나버리지만, 그렇기에 더 많은 곡을 추천받을 수 있다. 책은 이글스의 ‘호텔 캘리포니아’가 사실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는 내용이라는 등 음악에 얽힌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전하는 데도 충실하다. 그는 곡과 가수,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될 때 곡을 더 흥미롭게 들을 수 있다고 말한다.
무언가를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마음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기까지. 저자가 평생에 걸쳐 얼마나 많은 음악을 듣고 공부했을지 헤아리게 된다. ‘좋다’는 직관적인 감각을 그럴듯한 형용사로 눙치지 않으려는 치열한 고민이 느껴지는 글이다. 저자의 다정한 추천은 흘려들었던 노래를 다시 찬찬히 듣게 한다. 내게는 이 곡이 어떻게 들리는지, 나름의 주석을 붙여보고픈 마음을 일깨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