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소년사건변호사 모든 자산이 오르는 ‘에브리싱 랠리’ 한 달 만에 금융시장이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인공지능(AI) 투자 거품론이 부각되고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자 주식·가상자산은 물론 안전자산인 금 가격까지 동반 급락했다.
18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135.63포인트(3.32%) 떨어진 3953.62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 13일 4170.63까지 오르며 이달 초 조정 당시 낙폭을 대부분 회복했지만 이날 크게 흔들리면서 7거래일 만에 지수가 4000선 밑으로 떨어졌다. 이달 코스피가 장중 3% 넘게 급락한 것은 지난 5일, 14일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그만큼 국내 증시의 심리가 불안하다는 뜻이다. 이날 코스피 상승종목은 전 거래종목 중 8.9%에 그칠 정도로 지수 전반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50개 상장사를 모은 코스피50지수 종목 중 한국전력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락 마감하는 등 대형주가 일제히 급락했다.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코인베이스 기준)은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전일보다 5.26% 급락한 8만9972달러에 거래되며 지난 4월 말 이후 7개월 만에 9만달러(약 1억3200만원)를 밑돌았다. 국내 금 가격도 1.38% 떨어진 g당 19만800원에 마감해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모든 자산이 급락하면서 투자자 사이에선 ‘요즘 오르는 건 기름값과 환율밖에 없다’는 말도 나온다.
금융시장이 불안한 배경에는 AI 거품론, 연준의 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깔려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주요 연준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으로 금리 인하 기대심리가 냉각되고 있고, 엔비디아 실적발표를 앞두고 AI 버블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메타, 아마존 등 AI를 주도하는 빅테크가 대규모 회사채를 발행하면서 AI 투자가 과열됐다는 우려가 커졌다. 전날 페이팔과 팔란티어의 창업자로 유명한 투자자 피터 틸의 헤지펀드가 엔비디아 지분을 모두 매각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AI 거품론이 고조됐다.
조정장이 계속되다보니 투자심리도 위축되고 있다. 증시의 투자심리를 보여주는 CNN의 공포·탐욕 지수는 15포인트로 지난 4월 이후 최저치다. ‘극단적 공포(Extreme fear)’ 수준이라는 뜻이다.
시장에서는 20일(한국시간) 새벽 ‘AI대장주’인 엔비디아 실적발표와 연준의 통화정책 향방에 따라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는 20일 “아직도 성희롱 범죄자 양우식 의원이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이라는 사실에 분노하며 즉각 사퇴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그릇된 ‘성인지 감수성’과 ‘위계특권의식’에 사로잡힌 정치인이 ‘도민의 민의를 대변하는 기관’이며 동시에 ‘공공부문 노동자들이 일하는 일터’인 경기도의회의 핵심 요직에 앉아 있다”며 “의회 사무처 노동자에게 차마 입에 담지 못할 성희롱을 하고, 부인하지 못할 혐의 증거로 인해 검찰에 기소까지 진행됐음에도 (그렇다)”고 밝혔다.
이어 “노동자가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짓밟는 성희롱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선출직 공직자가 자신에게 종속된 위치에 있는 직원에게 성희롱한 것은 ‘권력형 성폭력’의 전형이며, 민주주의 기관의 윤리와 인권 감수성 수준이 시대정신에 현저하게 미달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는 “이 와중에도 양 의원은 공적인 책임을 회피한 채 요식적 사과에 머무르고 있으며, 그가 속한 정당은 당원권 정지 6개월이라는 가벼운 징계 외에 여전히 실질적 조치를 내놓지 않고 있다”면서 “이것이 바로 2차 가해이고 피해자 보호 의무를 저버리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성희롱과 성폭력에 대한 무책임한 미온적 대응은 조직 전체의 위계 구조를 병들게 하며, 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을 더욱 불안하고 취약하게 만든다”며 “구조적 무책임과 제도적 허술함이 만들어낸 심각한 노동권 침해이고 인권침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의 경기지사 비서실, 경기지사·경제부지사 보좌기관, 경기도교육감 비서실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는 경기도 공무원들의 출석 거부로 지난 19일부터 이날까지 이틀째 파행했다.
경기도의회 운영위원회 행정사무감사 대상 경기도 공직자 일동은 출석 거부 이후 입장문을 내고 “양우식 의원이 진행하거나 참석하는 행감 출석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검찰기소가 이루어진 상황에서 도덕성이 요구되는 운영위원장을 내려놓고 재판에 임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