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갤러리 지난달 모든 자산이 오르는 ‘에브리싱 랠리’와 달리 이달 금융시장은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인공지능(AI) 투자 거품론이 부각되고 미국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약화되자 주식·가상자산은 물론, 안전자산인 금까지 동반 급락했다. 코스피 지수는 3% 넘게 하락하며 4000선을 내줬고 비트코인은 7개월만에 9만달러 밑으로 떨어지며 부진에 빠졌다. 20일(한국시간) 발표되는 엔비디아의 실적발표에 따라 금융시장의 단기적 방향이 갈릴 전망이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135.63포인트(3.32%) 떨어진 3953.62에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피는 지난 13일 4170.63까지 오르며 이달 초 조정당시 낙폭을 대부분 회복했지만 이날 크게 흔들리면서 7거래일만에 지수가 4000선 밑으로 떨어졌다.
이달 코스피가 3% 넘게 급락한 것은 지난 14일에 이어 이번이 두번째다. 장중 기준으로는 매도사이드카가 발동됐던 지난 5일을 포함해 총 3번이나 3% 넘게 급락했다. 그만큼 국내 증시의 심리가 불안하다는 뜻이다.
이날 코스피 상승종목은 전 거래종목 중 8.9%에 그칠 정도로 지수 전반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50개 상장사를 모은 코스피50지수 종목 중 상승마감한 종목이 한국전력에 불과할 정도로 대형주가 일제히 급락했다.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은(코인베이스 기준)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전일보다 5.26% 급락한 8만9972달러에 거래되며 지난 4월말 이후 7개월만에 9만달러(약 1억3200만원)를 밑돌았다. 국내 금 가격도 1.38%떨어진 g당 19만800원에 마감해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지난 10월 주식·금이 모두 반등했던 에브리싱 랠리와 달리 모든 자산이 급락하면서 투자자 사이에선 ‘요즘 오르는 건 기름값과 환율밖에 없다’는 말도 나온다.
금융시장이 불안한 배경에는 AI 거품론, 연준의 금리인하 불확실성이 깔려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주요 연준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으로 금리인하 기대심리가 냉각되고 있고 엔비디아 실적발표를 앞두고 AI버블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메타, 아마존 등 AI를 주도하는 빅테크가 대규모 회사채를 발행하면서 AI투자가 과열됐다는 우려가 커졌다. 전날 페이팔과 팔란티어의 창업자로 유명한 투자자 피터 틸의 헤지펀드가 엔비디아 지분을 모두 매각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AI거품론이 고조됐다. 금리인하에 따른 유동성 완화 기대감이 자산 가격을 밀어올렸지만 금리인하 전망이 약화되면서 주요자산의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
조정장이 계속되다보니 투자심리도 위축되고 있다. 증시의 투자심리를 보여주는 CNN의 공포·탐욕 지수는 15포인트로 지난 4월 이후 최저치다. ‘극단적 공포(Extreme fear)’ 수준이라는 뜻이다.
특히 타격을 받는 것은 가상자산이다. 비트코인은 증시와 달리 지난달 이후 줄곧 부진했고, 여타 위험자산보다도 더 큰 폭으로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20일(한국시간) 새벽 ‘AI대장주’인 엔비디아 실적 발표와 연준의 통화정책 향방에 따라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미 실적시즌은 종료된 만큼 당분간 고용 등 거시여건과 엔비디아 실적 등 미국발 재료에 향방이 좌우될 전망”이라며 “그 과정에서 변동성 확대 압력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74%가량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국가별·소득별 디지털 격차가 크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유엔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올해 인터넷 이용자가 전년보다 2억4000만명 증가한 60억명으로 추산된다는 내용의 ‘2025년 디지털 개발 측정: 사실과 수치’ 보고서를 17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약 74%에 해당하는 수치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3.3%로 나타났다.
반면 아직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인구는 약 22억명으로 전년의 약 23억명에서 1억명가량 감소했다.
인터넷 이용 인구가 크게 늘어나긴 했지만 여전히 고소득국가와 저소득국가 사이에 큰 디지털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ITU는 밝혔다. 고소득 국가의 인터넷 이용 인구 비율은 94%에 달하는 반면 저소득 국가는 23%만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는 인구의 96%가 저소득국가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U는 인터넷 이용은 여전히 발전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면서 고소득 국가는 보편적 인터넷 사용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ITU는 독립국가연합(CIS), 유럽, 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인구의 88~93%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었고, 아시아·태평양과 아랍 지역의 인터넷 사용률은 각각 77%와 70%로 전 세계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아프리카 국가들의 평균 인터넷 이용률은 36%에 불과했다.
인터넷 이용률은 같은 국가 내에서도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도시지역에서는 인구의 85%가량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반면 농촌지역에서는 58%만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었다.
성별로는 남성의 약 77%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었고, 여성은 71%가량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5~24세의 약 82%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지만, 나머지 인구는 72%만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었다.
ITU는 또 세계 전체 인구의 5G 이용률은 약 55%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5G 이용이 가능한 비율은 고소득 국가에서 84%인 반면 저소득 국가에서는 4%에 불과했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는 20일 “아직도 성희롱 범죄자 양우식 의원이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이라는 사실에 분노하며 즉각 사퇴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그릇된 ‘성인지 감수성’과 ‘위계특권의식’에 사로잡힌 정치인이 ‘도민의 민의를 대변하는 기관’이며 동시에 ‘공공부문 노동자들이 일하는 일터’인 경기도의회의 핵심 요직에 앉아 있다”며 “의회 사무처 노동자에게 차마 입에 담지 못할 성희롱을 하고, 부인하지 못할 혐의 증거로 인해 검찰에 기소까지 진행됐음에도 (그렇다)”고 밝혔다.
이어 “노동자가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짓밟는 성희롱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선출직 공직자가 자신에게 종속된 위치에 있는 직원에게 성희롱한 것은 ‘권력형 성폭력’의 전형이며, 민주주의 기관의 윤리와 인권 감수성 수준이 시대정신에 현저하게 미달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는 “이 와중에도 양 의원은 공적인 책임을 회피한 채 요식적 사과에 머무르고 있으며, 그가 속한 정당은 당원권 정지 6개월이라는 가벼운 징계 외에 여전히 실질적 조치를 내놓지 않고 있다”면서 “이것이 바로 2차 가해이고 피해자 보호 의무를 저버리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성희롱과 성폭력에 대한 무책임한 미온적 대응은 조직 전체의 위계 구조를 병들게 하며, 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을 더욱 불안하고 취약하게 만든다”며 “구조적 무책임과 제도적 허술함이 만들어낸 심각한 노동권 침해이고 인권침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의 경기지사 비서실, 경기지사·경제부지사 보좌기관, 경기도교육감 비서실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는 경기도 공무원들의 출석 거부로 지난 19일부터 이날까지 이틀째 파행했다.
경기도의회 운영위원회 행정사무감사 대상 경기도 공직자 일동은 출석 거부 이후 입장문을 내고 “양우식 의원이 진행하거나 참석하는 행감 출석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검찰기소가 이루어진 상황에서 도덕성이 요구되는 운영위원장을 내려놓고 재판에 임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