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해력 경찰이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의 국립5·18묘지 참배를 저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충돌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시민단체는 경찰 수사에 반발하고 있다.
광주북부경찰서는 18일 “일부 시민단체가 장 대표의 5·18묘지 참배를 가로막는 과정에서 발생한 위법 행위에 대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부경찰서 수사과는 최근 경비과로부터 해당 사안에 대한 수사 의뢰를 받은 뒤 당시 현장 채증 영상을 분석하고 있다.
장 대표와 국민의힘 지도부는 지난 6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 참배에 나섰다. 하지만 시민단체는 ‘거짓참배쇼 거부한다’는 현수막을 내걸고 국민의힘 지도부의 묘역 진입을 막아섰다.
이들은 “비상계엄이 시대적 명령이라 지껄인 자가 어떻게 이곳에 온단 말이냐”, “내란 공범은 광주를 떠나라”고 외쳤다.
일부 시민들은 참배를 위해 장 대표 이름으로 놓인 조화를 훼손하기도 했다. 양측이 뒤엉키면서 장 대표 재킷의 단추가 떨어지기도 했다. 장 대표는 시민들의 항의에 참배하지 못하고 30초가량 묵념만 한 채 돌아섰다.
경찰은 당시 시민단체의 행동이 사전에 신고되지 않은 ‘불법 집회’라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장 대표를 밀친 행위와 조화를 훼손한 것도 폭력과 재물손괴에 해당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당시 영상을 분석해 위법 행위에 가담한 사람이 누구인지를 파악하고 있다”면서 “시민단체의 행동은 정상적인 기자회견으로 볼 수 없는 미신고 집회”라고 밝혔다.
김순 광주전남추모연대 집행위원장은 “내란을 옹호하는 장 대표에게 광주시민들의 입장을 전달하려다 우발적으로 발생한 충돌이었다”면서 “경찰 수사는 시민들의 입에 재갈을 물리는 행위”라고 반발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내란전담재판부를 구성해야 하지 않느냐는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오고 당원들 요구가 많은 것도 잘 안다”며 “이런 문제일수록 당과 정부, 대통령실이 긴밀히 조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등 (구속)영장이 연이어 기각되고 있고 또 다른 영장들도 기각돼서 당원들 분노가 많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대표는 “그런데 지금은 대통령께서 국익 추구를 위해 해외 순방 중에 계신다”며 “그래서 대통령의 순방 외교가 빛이 바래지지 않도록 당에서는 정부, 대통령실과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우리 (김병기) 원내대표하고 이런 문제는 긴밀하게 논의하고 있으니 그렇게 당원 동지들께서 알아주시길 바란다”며 “머지않은 기간에 입장을 표명할 날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가 전날 지지자에게 보낸 문자메시지 답장에서 내란전담재판부 도입에 대해 “강경한 의견을 빙자해 자기 정치하려는 일부 의원들의 주장은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며 “당·정·대가 긴밀히 소통하면서 처리하겠다”고 밝힌 것과 유사하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최고위원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당 안팎의 내란전담재판부 설치 요구에 대해 “당장 현재의 내란재판부를 중단하고 지금(1심) 단계에서 전담 재판을 하자는 취지는 아닌 것으로 안다”며 “항소심부터라도 내란전담재판부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주장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그 이유는 다 아시다시피 애초 지귀연 재판부가 내란 재판을 연내에 마무리하겠다고 했는데 최근 흐름은 조금 다른 것 같다”며 “자칫 윤석열 내란수괴가 다시 석방되는 충격적 모습을 국민들에게 보여드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황 속에서 신속한 재판을 촉구하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정 대표가 지난 8월 취임하고 추동해왔던 내란전담재판부 도입 논의는 법원의 내란 재판이 계속 진행되고 당의 사법제도 개혁에 초점이 맞춰지며 수면 아래로 내려간 바 있다. 최근 법원이 박성재 전 장관 등 내란 혐의자들에 대한 특검의 구속영장 청구를 연이어 기각하자 강성 개혁 당원들을 중심으로 도입 요구가 당 안팎에서 다시 떠오르고 있다.
당내에서는 전현희·김병주 최고위원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 박주민 의원 등이 내란전담재판부 도입에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전 최고위원은 이날 당 ‘3대특검 종합대응특위’ 전체회의에서 “특위에서 지난 9월 내란전담재판부와 (내란)영장전담판사 도입 법안을 지난 9월 발의했다”며 “대통령 순방이 끝나는 시점에 반드시 통과될 수 있도록 마지막 남은 힘을 모두 모아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친이재명계 외곽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도 전날 논평에서 “내란 사건의 모든 재판 과정은 투명해야 하며 이를 공정하고 전문적으로 다룰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는 더는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요구”라며 “무엇보다 가장 시급한 것은 내란전담 영장전담재판부의 개편”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