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형사전문변호사 존 힐리 영국 국방장관이 간첩 활동을 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러시아 선박이 영국 해역에 진입했다면서 위협 시 군사적 옵션이 준비됐다고 경고했다.
BBC에 따르면 힐리 장관은 19일(현지시간) 다우닝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러시아 선박 얀타르호가 최근 몇 주간 스코틀랜드 북쪽 영국 해역 경계를 떠돌다가 영국 해역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얀타르호는 공식적으로는 러시아 해양연구선으로 등록돼 있으나 서방에서 간첩 활동을 한다고 의심하는 선박이다. 힐리 장관은 얀타르호가 “정보 수집과 우리 해저 케이블 위치 파악을 위해 설계된 배”라면서 “우리와 동맹국들의 해저 기반 시설을 위험에 빠뜨리기 위한 러시아 함대의 일부”라고 말했다.
영국군은 얀타르호를 추적하기 위해 해군함 한 척과 공군 초계기 P-8 여러 대를 띄웠는데 얀타르호가 조종사들을 향해 레이저를 쐈다고 한다. 힐리 장관은 “이런 러시아의 행동은 매우 위험하다”며 영국군이 이번 일을 대단히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 전하고 싶다. 우리는 당신을 보고 있고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안다. 그리고 얀타르호가 이번 주 남쪽으로 이동한다면 우리는 준비가 돼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얀타르호를 더 면밀히 추적할 수 있도록 해군 교전 규칙을 변경했다면서 “얀타르가 경로를 변경하면 그에 대비한 군사 옵션이 있다. 푸틴에게 정보를 주지 않기 위해 그 옵션을 공개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영국의 경고에 관해 “영국의 수중 통신에는 관심이 없다”며 “러시아의 행동은 영국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영국의 안보를 해치려는 목적도 없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영국 국방부는 이날 군수 공장 신설 계획을 내놨다. 영국은 이 계획에 따라 지난 20년 가까이 해외 생산에 의존한 탄약과 군용 폭발물의 국내 생산을 재개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신규 공장이 들어설 수 있는 영국 전역의 13개 부지를 발표하고 건설 계획 제안서 제출을 업계에 요청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또 힐리 장관이 올해 영국에 신설될 2개 드론 공장도 공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김환기(1913~1974)의 1970년대 전면점화가 경매에서 150억원대에 팔렸다. 다만 2019년 11월 경매에서 김환기의 다른 그림이 기록한 한국 현대미술품 최고가 기록은 깨지 못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크리스티 뉴욕 ‘20세기 이브닝 세일’ 경매에서 김환기의 전면점화 ‘19-VI-71 #206’(1971)이 840만달러(약 123억원)에 낙찰됐다. 크리스티가 공개한 수수료 포함 구매 가격은 1029만5000달러(약 151억원)였다. 경매사 크리스티의 추정 낙찰가는 750만~1000만달러였는데, 중간 수준에 판매된 것이다.
이 그림은 가로 254㎝, 세로 203㎝로 화면에 방사선 패턴으로 확산하는 점들을 찍었다. 김환기의 작품 중 200호(가로 259.1㎝, 세로 193.9㎝) 이상의 대형 작품은 30점 이내로 추정돼 희소성이 높다고 평가됐다.
이로써 김환기의 그림은 경매시장에서 두 번째로 100억원대 낙찰가를 기록했다. 앞서 2019년 11월 크리스티 홍콩 경매에서 김환기의 1971년작 ‘5-IV-71 #200’(일명 ‘우주’)이 8000만홍콩달러(당시 약 131억원)에 낙찰돼 한국 현대미술품 최고가 기록을 세웠다. 수수료 포함 구매 가격은 약 153억3000만원에 이르렀다. 한국 현대미술품 사상 최초로 경매가 100억원을 돌파한 것이기도 하다.
김환기는 한국 현대미술품 경매 낙찰가 1~3위 기록을 모두 보유하게 됐다. 역대 3위 기록은 2018년 5월 서울옥션 홍콩 경매에서 6200만홍콩달러(당시 약 85억3000만원)에 낙찰된 김환기의 붉은색 전면점화 ‘3-II-72 #220’(1972)이다.
김환기는 1963년 브라질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한국 대표로 참가한 뒤 미국 추상화에 영향을 받고 뉴욕으로 건너가 독자적인 추상화 제작에 몰두하며 말년을 보냈다. 그는 뉴욕에서 활동하던 1970년대에 점으로 우주를 표현하는 전면점화 연작을 내놓았다.
인플루엔자(독감) 환자가 최근 4주 내내 증가하며 지난해 같은 시기의 14배 수준을 보이고 있다. 방역당국은 독감이 10년 내 가장 심한 수준으로 유행하고 있다며 예방접종을 권고했다.
21일 질병관리청이 운영 중인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현황을 보면, 올해 46주차(11월 9~15일)에 의원급 의료기관 300곳을 찾은 외래환자 1000명당 독감 증상을 보인 의심 환자는 66.3명이다. 직전 주(50.7명)보다 30.8% 증가했다. 1000명당 의심 환자는 42주차(10월13~19일) 7.9명에서 매주 큰 폭으로 늘고 있다.
독감은 소아·청소년 환자를 중심으로 유행 중이다. 1000명당 의심 환자는 7∼12세(170.4명)와 13∼18세(112.6명) 등에 집중됐다.
질병청은 현재 독감이 최근 10년 동기간 대비 최고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46주차 의심 환자는 1년 전 같은 기간(4.6명)의 14.4배에 달한다. 의원급 의료기관에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은 44주차(10월27일~11월2일) 19.0%에서 46주차 36.9%까지 늘었다. 작년 이맘때 검출률(3.6%)의 10배 수준이다.
병원급 의료기관에 독감으로 입원하는 환자 수는 4주간 증가세를 보이며 46주차에 490명을 기록했다. 반면 병원급 의료기관의 코로나19 입원환자는 44주 201명에서 45주 153명, 46주 145명으로 감소했다.
질병청은 아직 독감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다면 서둘러 해달라고 권고했다. 어르신, 어린이, 임신부를 대상으로는 지난 9월22일부터 국가예방접종이 시행되고 있다. 건강한 청년층이라도 예방접종 없이 독감에 걸리면 일반 감기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의 몸살과 고열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접종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