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소년법전문변호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과의 갈등 재발을 피하고 소비자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수입 반도체에 대한 품목관세 부과 시기를 미룰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 정부 당국자들은 이러한 메시지를 정부 및 업계 관계자들에게 최근 수일 사이에 전달했다.
한 소식통은 “정부가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더욱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반도체에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경우 현재 ‘휴전’ 상태인 미·중 간에 무역전쟁이 재발하고 중국이 대미 희토류 수출통제 카드를 다시 꺼낼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는 뜻이다.
또 연말 쇼핑 시즌을 앞두고 반도체 관세가 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일 뉴욕시장 선거 등에서 인플레이션을 잡겠다고 약속한 민주당이 압승하는 등 미국 내에선 관세가 초래한 물가 인상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미 백악관과 상무부는 반도체 관세와 관련한 정부 정책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행정부는 우리의 국가 및 경제 안보에 중요한 제조업을 미국으로 가져오기 위해 모든 행정 권한을 계속 사용할 것”이라며 “이를 부인하는 보도는 가짜 뉴스”라고 밝혔다. 상무부의 한 관리도 “반도체 관세에 관한 부처 정책은 변함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언제쯤 반도체 관세를 도입할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집적회로와 반도체”가 대상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에 반도체 제조 공장을 건설 중이거나 건설을 약속한 기업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까지 반도체 관세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다.
한·미는 최근 발표한 한·미 정상회담 공동 팩트시트(설명자료)에서 한국산 반도체 관세와 관련해 미국이 다른 나라와 체결할 합의보다 불리한 대우를 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비교 대상 국가는 반도체 교역량이 한국 이상인 국가로 한정됐다.
HMM이 탄소 배출과 운항비를 절감할 수 있는 폐열 회수 발전시스템 실증에 나섰다.
HMM은 18일 삼성중공업과 국내 친환경 설비 전문기업인 파나시아와 경기 삼성중공업 판교R&D센터에서 ‘유기 랭킨 사이클(Organic Rankine Cycle·ORC) 폐열 회수 발전시스템 선박 실증 업무협약(MOU)’을 지난 17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폐열 회수 발전시스템은 선박 엔진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해 선박 운항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발전기 사용이 줄어들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또 액화천연가스(LNG)나 메탄올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할 경우 연료비를 줄여 운항비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증기를 이용한 폐열 회수 발전시스템은 고온의 폐열을 이용했는데, ORC 시스템은 물보다 끓는점이 낮은 온도에서 기화되는 유기 열매체를 사용해 중저온의 폐열로도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이날 협약을 체결한 3사는 “국내 최초로 진행되는 해상 실증을 통해 ORC 폐열 회수 발전시스템의 효과 검증,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검토, 실증 운항 데이터 확보하는 게 목표”라며 “연간 230t의 연료와 700t의 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협약에 따라 3사는 HMM이 운항 중인 1만6000TEU급(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컨테이너선에 삼성중공업에서 개발한 250㎾(킬로와트)급 ORC 폐열 회수 발전시스템을 탑재해 해상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HMM 관계자는 “2050 탄소 중립을 위한 글로벌 변화에 맞춰 HMM은 이보다 5년 빠른 ‘2045 넷제로’ 조기 달성 목표를 세웠다”며 “이를 위해 친환경 연료 선박 확보는 물론 다양한 기술 개발과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