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이혼전문변호사 일본 기업들이 ‘차이나리스크’로 인해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산케이신문이 20일 보도했다.
일본 시장조사업체 제국데이터뱅크의 ‘해외진출에 관한 기업 의식조사’ 결과를 보면 해외에 진출한 일본 기업 1908곳 중 생산거점으로서 중국을 중요하게 여기는 기업의 비율은 16.2%, 판매거점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답한 기업은 12.3%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1위에 해당하지만 2019년 조사에서 생산거점 23.8%, 판매거점 25.9%였던 것에 비해서는 크게 낮아진 수치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0~31일 인터넷을 통해 실시됐다.
산케이는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자위대 개입’ 시사 발언 이후 중국의 대응조치가 계속 이어지는 상황에서 기업도 ‘차이나리스크’로 인해 중국 의존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이나리스크란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업이나 국가가 중국의 경제 성장이 둔화될 경우, 또는 정책 변화나 규제 강화로 인해 겪게 되는 위험을 의미한다.
제국데이터뱅크 조사에 응한 기업들은 ‘중국은 정보를 얻기 위해 법률을 쉽게 바꾸는 등 안심하고 진출할 수가 없다’는 등 정치 리스크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았다고 산케이는 보도했다. 부동산 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중국 경제 상황을 우려하는 기업들도 있었다.
산케이는 “중국 정부는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에 반발하는 맞대응 조치를 연일 내놓고 있지만 희토류 수출 제한이라는 일본 기업에 큰 타격을 주는 카드는 아직 사용하지 않았다”면서 “경기 침체로 고민하는 중국 경제에 대해 일본 기업의 축소, 철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대일 압력을 어디까지 강하게 할 수 있을지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산케이는 이어 “경제의 중국 의존도가 낮아지면 일본 정부도 중국에 대해 의연한 대응을 하기 쉬워진다”면서 “일본 기업의 (중국) 진출 동향은 중일 모두에게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의 한 전시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각국 대표단이 긴급 대피하는 일이 발생했다. 13명이 연기를 들이마셔 치료를 받았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오후 벨렝에서 진행 중인 COP30에서 각국의 주요 기후 위기 대응 현황을 알리는 전시 부스가 설치된 ‘파빌리온’ 블루존 내부에서 불이 났다.
파빌리온에서 시작된 불꽃이 벽과 천장을 덮고 있던 내부 직물 구조물을 따라 빠르게 번졌고, 각국 대표단과 취재진을 비롯한 회의 참석자 수천명이 긴급 대피했다. 화재는 6분 만에 진압됐다.
COP30 조직위원회는 성명에서 “연기 흡입으로 인해 13명이 현장에서 치료를 받았다”며 “현재 적절한 의료 지원이 제공되고 있다”고 밝혔다.
현지 소방 당국은 전자 장비, 특히 전자레인지가 화재의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 보고 정확한 원인을 조사 중이다.
조직위는 안전 평가를 실시한 후 정확한 상황을 다시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