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개인회생 대기업 총수 일가가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에서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감시 사각지대를 활용해 사익을 추구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 사외이사의 원안 가결률이 여전히 99%를 넘어 사외이사가 ‘거수기’ 역할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시대상 기업집단의 지배구조 현황 분석’을 공개했다. 조사는 자산총액 5조원 이상 공시대상 기업집단(대기업집단) 92개 중 86개 집단의 2994개 회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총수가 있는 77개 집단 2844개 기업 중 총수 일가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니라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는 회사는 198개사(7.0%)로 전년보다 비율이 1.1%포인트 늘었다. 하이트진로와 DN, KG, 금호석유화학, 셀트리온 등에서 미등기 임원 재직 비율이 높았다.
특히 총수 일가가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는 상장사 비율은 29.4%로 전년 대비 6.3%포인트 늘었다. 비상장사(3.9%)의 7배 수준이다. 미등기 임원의 과반수(54.4%)는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소속이었다.
음잔디 공정위 기업집단관리과장은 “미등기 임원은 경영에 실질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지만 상법 등에 따른 법적 책임에서 비교적 자유로워 감시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며 “최근 이사의 충실의무 규정이 강화된 개정 상법도 미등기 임원 총수일가가 늘어나면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상장사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율은 51.3%로, 법정 기준(44.2%)보다 높았다. 법정 사외이사 선임 의무가 없는 비상장사 중에서도 일부(4.4%)가 자발적으로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었다.
다만 여전히 사외이사 역할이 거수기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사회 상정 안건 중 원안대로 통과되지 않은 안건 비율은 0.38%로 최근 5개년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영진에 대한 사외이사의 감시·견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다는 뜻이다.
위원회 운영 현황을 보면 총수가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보다 내부거래위원회(32.6%포인트), 추천위원회(15.6%포인트), ESG위원회(7.7%포인트)의 설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보상위원회(-9.5%포인트), 감사위원회(-9.3%포인트)의 설치 비율이 낮았다. 상대적으로 총수 일가에 대한 견제·감시가 미흡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ESG위원회는 도입 의무가 없는데도 2021년 17.2%에서 2025년 57.3%로 크게 늘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공정위는 “앞으로 지배구조 현황을 지속적으로 공개해 시장의 자율적 감시 기능을 강화하고, 대기업집단의 자발적 지배구조 개선을 유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매년 국내에서 가장 이른 시즌 시작을 이어온 휘닉스 스노우파크는 오는 11월 21일 개장을 확정했다. 개장 30주년을 맞아 다양한 혜택 역시 발표했다.
휘닉스는 “이번 주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면서 제설 작업을 본격화해 지난해보다 8일 빠르게 문을 연다”며 “개장일에는 현장 구매 리프트권이 권종과 관계없이 3만원 균일가로 제공된다”고 밝혔다.
또한 개장 당일 호크 슬로프에서는 오프닝 이벤트가 진행되고, 스키하우스에서는 ‘개장빵 이벤트’가 준비됐다. 선착순으로 제공되는 포춘쿠키에는 호텔 파티스위트 숙박권, 리프트권, 블루캐니언· 스노우빌리지 입장권 등 10여 종의 경품이 랜덤으로 포함됐다.
19일 오후 1시부터 20일 오전 10시까지 이틀간 시즌패스 타임세일도 진행된다. 완판됐던 1차 시즌패스 판매가로 컴포트 플러스와 시그니처 시즌패스를 다시 구매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휘닉스 공식 인스타그램에서는 개장을 기다리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 댓글 이벤트가 진행 중이다.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Insta360 X5’ 카메라를 증정한다.
전윤철 휘닉스 파크 총지배인은 “30주년을 맞은 25/26 시즌은 안전한 슬로프 관리와 안정적인 운영을 최우선으로 준비하고 있다”며 “오랜 시간 함께해주신 고객들과의 추억을 다시 나누고 새로운 기억을 더 할 수 있는 뜻깊은 시즌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