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화위)가 5년간의 활동을 마치고 종합보고서를 냈다. 오는 26일 활동을 종료하는 진화위는 18일 ‘2기 진화위 활동 종료 대국민 보고회’를 열고 종합보고서를 공개했다. 2기 진화위는 신청사건 등 총 2만928건 중 1만8817건(89.9%)을 처리했다. 이 중 1만1913건은 ‘진실규명’이 결정됐고, 각하·불능·취하·이송된 사건은 총 6904건이었다. 조사중지 사건은 2111건으로, 이 중 1365건은 경찰과 군에 의한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이었다. 북한군 등 ‘적대세력’ 관련 사건을 조사중지한 사례는 85건이었다.
보고서는 대표적인 성과로 ‘한국전쟁기 희생자 1만1000여명 진실규명’을 꼽았다. 진화위는 “한국전쟁 전후 군경에 의한 민간인 희생 사건 6069건,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 사건 3197건에 대해 진실규명했다”고 밝혔다.
집단수용시설이나 해외입양 과정에서의 인권침해 사건 진실규명도 성과로 강조했다. 진화위는 “1970~1980년대 ‘부랑인’을 대상으로 한 형제복지원에서의 감금, 폭행, 의문사 등 중대한 인권침해에 대한 국가 책임이 공식 확인됐다”며 “형제복지원이 1960년대부터 존재했음을 밝혀, 피해 인정 기간이 기존보다 약 15년 앞당겨지는 데 기여했다”고 했다.
진화위 노조는 지난 17일 별도의 백서를 내고 “일부 위원회 구성원은 특정 신념에 기초해 진실을 후퇴시켰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김광동 전 진화위원장이 2023년 5월24일 “부역 혐의 희생자 중 실제 부역자가 있는지 세심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말한 데 대해 “적법 절차 없이 살해됐다고 해도 ‘순수한 양민’만 희생자로 인정하겠다는 퇴행적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허상수 전 진화위원은 “3기 진화위가 출범한다면, 2기 진화위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진화위 차원에서 사과하고, 별도의 직권조사를 해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13일 경기 부천 제일시장 트럭 돌진 사고로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던 중상자 2명이 추가로 숨졌다.
부천시는 트럭 돌진 사고로 병원에 입원해 있던 20대 남성 A씨와 80대 여성 B씨 등 2명이 추가로 숨졌다고 밝혔다.
숨진 A씨(23)는 지난 13일 제일시장 상인 C씨(67)가 몰던 트럭에 치여 5일만인 지난 18일 숨졌고, 80대 노인은 이날 사망했다.
이에 따라 부천 제일시장 트럭 돌진사고는 애초 2명 사망, 19명 부상에서 4명 사망, 17명 중경상을 바뀌었다.
부천시 관계자는 “추가 사망자 2명이 시장 상인인지, 장보러 나온 시민인지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며 “아직도 병원에 12명이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부천 제일시장 트럭 돌진사고는 지난 13일 오전 10시 54분쯤 C씨 몰던 1t 트럭이 제일시장 안에서 페달 오조작으로 상인과 시장에 온 시민들을 들이받은 것이다.
제일시장에서 생선가게를 운영하는 C씨는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치사상 혐의로 경찰에 구속됐다. C씨는 “당황해서 브레이크를 못 밟았다”고 경찰에 진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