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기부전치료제구입 미성년자 성착취범인 고 제프리 엡스타인 문건의 강제 공개를 명령하는 법안이 미 하원에 이어 상원에서도 통과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엡스타인의 죽음 후 6년, 그의 성범죄 사실이 경찰에 처음 신고된 때로부터 무려 20년만이다.
엡스타인이 빌 클린턴 전 대통령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민주당과 공화당을 넘나들며 정·재계 인사들과 폭넓은 네트워크를 형성한 탓에, 엡스타인 문건 공개 요구는 외로운 싸움일 수밖에 없었다. 그 외로운 싸움의 중심에 ‘생존자 자매들’이 있었다. 미성년자 시절 엡스타인으로부터 성착취를 당한 피해 여성들이다.
미 하원이 문건 공개 법안을 표결에 부친 18일(현지시간) 오전, 의회 의사당 앞에 한 무리의 여성들이 자신의 어릴 적 사진을 들고 결연한 표정으로 섰다.
“우리는 아이들을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이것은 정치적 문제가 아니라, 인간에 대한 문제입니다.” 헤일리 롭슨은 엡스타인에게 성착취를 당했던 미성년 시절의 자신처럼 지금도 어디선가 같은 피해를 당하고 있을 아이들을 위해 그 자리에 섰다고 말했다. 그는 하원의원들을 향해 “생존자와 아이들을 선택해달라”고 간청했다.
또 다른 생존자 웬디 에이비스도 “우리는 애초에 우릴 보호해준 적 없는 사람들(민주당과 공화당)의 싸움에 말려들고 싶지 않다”며 “우리는 트라우마를 극복해야 하는 것도 모자라 그 트라우마를 자극하는 정치에서 살아남느라 지쳤다”고 말했다.
엡스타인 피해 생존자들이 이처럼 직접 한자리에 모여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은 버지니아 주프레의 죽음 이후부터였다고 USA투데이는 전했다. 이들은 지난 9월 의사당 앞에서 열린 생존자들의 첫 기자회견에서 “주프레는 생전 우리가 항상 함께 모이기를 원했다. 주프레가 없었다면 우리는 목소리를 내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프레는 엡스타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최초의 피해자다. 그는 자신을 보고 용기를 내 피해 사실을 증언하기 시작한 많은 생존 여성들의 트라우마 극복을 돕는데 헌신해왔지만, 지난 4월 회고록 출간을 앞두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의 사후 출간된 회고록 맨 앞장에는 “성적 학대를 겪은 생존자 자매들에게 이 책을 바친다”고 쓰여 있었다.
미 전역에 흩어져 살고 있는 ‘생존자 자매들’은 그동안 서로를 의지하며 끔찍한 트라우마를 이겨내려 노력해왔다. 텍사스에 사는 호스피스 간호사 베나비데즈는 “엡스타인 생존자가 느끼는 고립감은 정말 크다. 다른 생존자 자매들 말고는 아무도 나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USA투데이에 말했다. 그는 시애틀에 거주하는 또 다른 생존자 마리케 차르투니와 한 달에 한 번 이상 통화를 하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줬다.
미 하원 표결을 지켜보기 위해 이날 다시 의회로 모인 생존자들은 물을 나눠 마시고, 서로의 손을 조용히 꽉 쥐면서 결과를 기다렸다. 엡스타인에게 성착취를 당할 때 16살이었다는 애니 파머는 “이렇게 함께 모일 때마다 우리는 두려움을 느끼는 존재에서 두려움을 느끼게 하는 존재로 바뀌게 된다”며 “우리는 함께할 때 강해진다”고 CNN에 말했다.
하원에서 관련 법안이 427대 1의 압도적인 표차로 통과됐다는 소식을 들은 여성들은 모두 환호하며 기뻐했다. 다니 벤스키는 “우린 한번도 승리해본 적이 없는데 드디어 승리했다”고 말했다.
법안 통과의 또 다른 주역 중 한 명인 낸시 메이스 공화당 하원의원(사우스캐롤라이나) 역시 성적 학대를 겪은 생존자이다. 그는 현재 전 약혼자를 성폭행·성매매 등의 혐의로 고발한 상태다. 메이스 의원은 엡스타인 문건을 공개하라는 강제 부의안에 서명한 공화당 의원 4명 중 한 명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끝내 서명을 철회하지 않았다.
메이스 의원은 엡스타인 생존자 여성들 앞에서 눈물을 흘리며 “당신들은 언젠가 정의를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줬다”고 말했다. 생존 여성들은 메이스 의원을 한 명 한 명 돌아가며 꼭 안아줬다고 CNN이 전했다.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15일(현지시간) 범죄 증가와 부정부패에 항의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열렸다. AP·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번 시위는 ‘Z세대’ 청년층이 주도했고 야당 성향의 중·장년층도 가세하며 규모가 커졌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시위에는 수천 명이 참여했으며 폭력 범죄 급증과 정부의 미흡한 대응, 부정부패 등을 규탄했다. 특히 지난 1일 서부 미초아칸주에서 카를로스 만소 우루아판 시장이 공개 행사 도중 피살된 사건에 대한 분노를 표출했다.
국가궁 인근에서는 일부 시위대가 안전 울타리를 훼손하며 경찰과 충돌했다. 로이터는 경찰이 최루탄을 사용해 해산을 시도했다고 전했다. 경찰 당국은 이번 충돌로 120명이 다쳤으며 이 중 100명이 경찰이라고 밝혔다. 또 20명이 불법 시위 혐의 등으로 체포됐다고 덧붙였다.
멕시코시티 시위대 일부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과 여당인 모레나를 향해 “모레나는 물러가라”, “카를로스는 죽지 않았다, 정부가 죽였다”고 외쳤다. 29세 참가자 안드레스 마사는 AP에 “더 많은 안전이 필요하다”며 Z세대 시위 상징인 해적 깃발을 들고 행진했다. 43세 의사 아리즈베스 가르시아는 공공의료 재정 확대와 의료진 보호를 요구하며 “멕시코는 누구든 살해당해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나라가 됐다”고 했다. 시위는 멕시코시티뿐 아니라 다른 주요 도시들에서도 동시다발적으로 이어졌다.
최근 고위 공직자 피살 등 강력 범죄가 잇따르고 있지만 셰인바움 대통령의 지지율은 여전히 높다. 시위 전 셰인바움 대통령은 보수 야당이 Z세대 시위를 조직적으로 선동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반면 비센테 폭스 전 대통령과 멕시코 억만장자 리카르도 살리나스 플리에고 등 고령층 정치·경제계 인사들은 시위를 지지하는 메시지를 냈다.
이날 시위에는 Z세대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했으며 피살된 만소 시장의 지지자들 역시 그의 정치적 상징인 밀짚모자를 쓰고 행진했다. 미초아칸 파츠쿠아로에서 온 65세 부동산 중개업자 로사 마리아 아빌라는 만소 시장이 범죄조직을 압박하다 살해됐다고 주장하며 “국가가 죽어가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