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팔로워 늘리기 미국 재무장관 출신인 로런스 서머스 하버드대 전 총장이 미성년자 성착취범 제프리 엡스타인에게 불륜 상담을 한 사실이 드러나 공적인 활동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17일(현지시간) 서머스 전 총장은 “엡스타인과의 관계에서 깊은 부끄러움을 느낀다”며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모든 공개 활동을 중단하겠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서머스 전 총장은 진보 성향의 싱크탱크 미국진보센터의 선임 연구원, 인공지능 기업 오픈AI 이사회의 이사, 블룸버그의 유급 기고자 등으로 활동 중이다. 다만 하버드대의 종신 교수이기도 그는 대학에서 강의는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하버드대는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하지 않았다.
서머스 전 총장이 엡스타인과 연락을 주고받은 사실은 지난 12일 연방 하원 민주당 의원들이 관련 문서들을 공개하면서 드러났다. 문서에 따르면 서머스 전 총장은 엡스타인에게 한 여성과 관련해 “경제 멘토 이상의 관계는 되지 못할 것 같다” “피곤하다는 이유로 술 마시자는 것을 거절했다”며 조언을 구하는 내용의 이메일을 여러 차례 보냈다. 엡스타인은 2018년 11월 이메일에서 자신을 서머스 전 총장의 ‘윙맨(핵심 조력자)’로 지칭하며 친분을 드러내기도 했다.
서머스 전 총장은 엡스타인의 미성년자 성범죄 사실이 알려진 후인 2013년부터 2019년 초까지 엡스타인과 이메일을 주고받았다. 엡스타인은 2008년 플로리다주에서 미성년자 성매매 혐의 등을 인정한 바 있다.
서머스 전 총장은 앞서 자신의 아내이자 하버드 교수인 엘리사 뉴의 프로젝트를 위해 엡스타인에게 100만달러(약 14억6300억원)를 마련하는 방법에 관해 조언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비판을 받기도 했다.
엘리자베스 워런 민주당 상원의원은 “엡스타인과 관계를 고려할 때 서머스 전 총장은 학생들에게 신뢰받을 수 없다”며 “엡스타인의 미성년자 성범죄가 공개적으로 알려진 후에도 (서머스 전 총장이) 거리를 두는 것에 소극적이었다면, 하버드대나 다른 어떤 곳에서도 학생들을 가르칠 수 없다”고 CNN에 말했다.
서머스 전 총장은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에서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을, 빌 클린턴 전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역임하는 등 주요 공직에서 활동했다. 그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하버드대 총장을 맡았지만 성차별적 발언 등으로 사임했다. 그는 당시 여성들이 과학·공학 최상위 분야에서 저평가되는 상황에 관해 “생물학적 차이가 이유일 수 있다”고 답해 논란이 됐다.
오는 18일 하원에서 엡스타인 문건 공개 법안이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엡스타인 관련 문건 공개를 촉구하는 법안이 의회를 통과할 경우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엡스타인과 우리는 아무 관련이 없다”며 “그의 친구들은 전부 민주당 사람들이었다”고 말했다.
호주 정부가 아랍에미리트(UAE)로의 방산 수출을 확대하려는 가운데 UAE를 경유해 집단학살 의혹을 받는 수단 반군 신속지원군(RSF)에 무기가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영국 가디언은 16일(현지시간) 호주 방산기업 약 35곳이 17일부터 UAE에서 열리는 두바이 에어쇼에 참가해 무기 거래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UAE의 무기 재수출 문제가 국제사회에서 꾸준히 지적돼 온 만큼 인도주의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UAE가 수단에서 대규모 민간인 학살을 벌이는 RSF에 무기를 공급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발간한 보고서는 RSF가 “차드와 리비아를 거쳐 UAE로부터 정교한 무기를 공급받아 비아랍계 수단인들을 학살했다”고 밝혔다. 무기 지원의 대가로 UAE가 수단산 금을 받는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영국 외교·안보 싱크탱크 채텀하우스는 수단에서 생산되는 금 대부분이 직간접적 경로로 UAE로 유입된다고 밝혔다.
UAE는 RSF에 대한 무기 제공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불가리아 정부는 자국이 UAE에 수출한 무기가 허가 없이 제3국으로 재수출됐다고 발표한 바 있어 호주산 무기도 RSF에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문제는 호주 정부의 무기 수출 내역이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호주는 최근 5년간 약 3억달러(약 4000억원) 규모의 무기·탄약을 UAE에 수출했지만, 정부 기록에는 수출된 무기의 종류나 수량 등 세부 내역이 없다. 수출된 무기가 어디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모니터링하는 법적 장치도 마련돼 있지 않다.
호주 국방부는 “국제적 의무와 일치하는 엄격하고 투명한 수출 통제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면서도 UAE로 수출된 무기 관리 방식은 밝히지 않고 있다. 유엔의 세관통계 데이터베이스 ‘유엔 컴트레이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UAE 무기 수입국 가운데 호주는 네 번째 공급국이다.
무기 수출의 윤리성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필립 카스트너 서호주대학 국제법 교수는 “호주산 무기가 수단에서 사용됐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은 더욱 불가능하다”며 “호주가 부유해지는 방식이 무기 생산을 통해서여야 하는지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가디언에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