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음주운전변호사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김환기(1913~1974)의 1970년대 전면점화가 경매에서 150억원대 금액에 팔렸다. 다만 2019년 11월 경매에서 김환기의 다른 그림이 기록한 한국 현대미술품 최고가 기록은 깨지 못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크리스티 뉴욕 ‘20세기 이브닝 세일’ 경매에서 김환기의 전면점화 ‘19-VI-71 #206’(1971)는 840만달러(약 123억원)에 낙찰됐다. 크리스티가 공개한 수수료 포함 구매 가격은 1029만5000달러(약 151억원)였다. 경매사 크리스티의 추정 낙찰가는 750만~1000만달러였는데, 추정가 중간 수준에 판매된 것이다.
이 그림은 가로 254㎝, 세로 203㎝로 화면에 방사선 패턴으로 확산하는 점들을 찍어낸 작품이다. 김환기의 작품 중 200호(가로 259.1㎝, 세로 193.9㎝) 이상의 대형 작품은 30점 이내로 추정돼 희소성이 높다고 평가됐다.
이로써 김환기의 그림은 경매시장에서 두 번째로 100억원대 낙찰가를 기록하게 됐다. 앞서 2019년 11월 크리스티 홍콩 경매에서 김환기의 1971년작 ‘5-IV-71 #200’(일명 ‘우주’)는 8000만홍콩달러(당시 약 131억원)에 낙찰돼 한국 현대미술품 최고가 기록을 세웠다. 수수료 포함 구매 가격은 약 153억3000만원에 이르렀다. 한국 현대미술품 사상 최초로 경매가 100억원을 돌파한 것이기도 했다.
김환기는 한국 현대미술품 경매 낙찰가 1~3위 기록을 모두 보유하게 됐다. 역대 3위 기록은 2018년 5월 서울옥션 홍콩 경매에서 6200만홍콩달러(당시 약 85억3000만원)에 낙찰됐던 김환기의 붉은색 전면점화 ‘3-II-72 #220’(1972)였다.
김환기는 1963년 브라질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한국 대표로 참가한 뒤 미국 추상화에 영향을 받고 뉴욕으로 건너가 독자적인 추상화 제작에 몰두하며 말년을 보냈다. 뉴욕에서 활동하던 1970년대부터 점으로 우주를 표현하는 전면점화 연작을 내놓은 것으로 유명하다.
한국 정부와 기업에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장 공급을 약속한 엔비디아가 한국의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을 돕겠다는 뜻을 재차 밝혔다.
실파 콜핫카르 엔비디아 국가 AI 비즈니스 협력 총괄은 1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AI 데이 서울’에서 “각국은 단순히 AI의 소비자로 머물러선 안 된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다”며 “엔비디아는 한국이 세계적인 ‘AI 메이커’(AI를 만드는 주체)가 되도록 협력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엔비디아가 2019년 이후 6년 만에 국내에서 개최한 대규모 개발자 행사다.
엔비디아는 ‘소버린(주권) AI’를 강조하면서 각국의 독자적인 AI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회사 입장에선 자사 AI 반도체 수요를 넓히는 중요한 사업 영역이다.
콜핫카르 총괄은 여러 에이전트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에이전틱 AI’ 시대가 왔고, 다음 단계로 ‘피지컬 AI’가 부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피지컬 AI는 AI가 디지털 세계에서 물리적 세계로 나아간 개념이다. 로봇, 자율주행차 등이 현실의 복잡한 행동을 인식·이해하고 자율적으로 판단·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콜핫카르 총괄은 “각 단계는 새로운 시장과 새로운 기회를 열고, 이는 인프라 변화를 요구한다”며 “앞으로는 AI를 직접 생산하는 게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콜핫카르 총괄은 “한국은 굉장히 강력한 AI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AI 인재와 기술, 정부 지원을 받는 AI 생태계, 고유 언어와 데이터로 이뤄진 모델 등을 ‘AI 메이커’의 조건으로 꼽았다. 그러면서 “이 모든 것을 해내기 위해서는 ‘AI 팩토리’라고 부르는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했다.
‘AI 팩토리’는 엔비디아가 기존 데이터센터와 차별화해 전략적으로 밀고 있는 개념이다. 회사는 “데이터 수집부터 학습, 미세 조정, 대규모 추론(AI 모델 학습 후 실행 단계)에 이르기까지 전체 AI 생명주기를 관리하며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생성하도록 설계된 특수한 컴퓨팅 인프라”라고 설명한다. 단순히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곳이 아니라 대규모로 ‘지능’을 생산하는 공장이라는 의미다.
마크 해밀턴 엔비디아 솔루션 아키텍처 및 엔지니어링 부사장은 “AI 팩토리에서 데이터라는 원자재를 받아다가 전력과 GPU 클러스터라는 장비를 이용해 ‘토큰’(AI 모델이 처리하는 데이터 단위)을 생산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엔비디아는 GPU 공급을 넘어 자사 제품을 기반으로 한 AI 데이터센터 구축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국내에 도입되는 엔비디아 GPU 26만장 가운데 상당수는 AI 팩토리 구축에 쓰인다. 콜핫카르 총괄은 “머지 않아 AI 팩토리는 어디에나 존재하면서 경제 성장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