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소년법전문변호사 LG전자가 온라인 브랜드숍(LGE.COM)에서 가전과 어울리는 가구, 조명 같은 리빙제품과 인테리어를 제안하는 ‘홈스타일’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회사는 이 서비스가 ‘질적 성장’ 영역 중 하나인 소비자직접판매(D2C) 사업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홈스타일은 가전과 조화를 이루는 프리미엄 리빙 브랜드를 선별해 제안하고, 고객이 쉽고 편리하게 공간을 꾸밀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다. 제품 탐색부터 구매, 상담, 인테리어 시공까지 한 번에 가능한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한다.
회사는 온라인숍 이용 고객 다수가 가전 구매 과정에서 가구, 조명 등 리빙제품에도 높은 관심을 보인다는 점에 주목해 이번 서비스를 마련했다.
서비스에는 국내외 400여개 가구, 조명, 주방·생활용품 브랜드와 2만여개 제품이 입점했다. 뽀로, 롤프 벤츠, 케인 컬렉션 등 프리미엄 브랜드를 독점으로 선보인다.
최신 인테리어 트렌드를 반영해 거실, 주방, 침실, 서재 등 공간별로 가전과 어울리는 색상·재질을 고려한 스타일링 이미지도 제안한다. 예를 들어 휘센 에어컨을 설치하는 경우 같은 톤의 소파, 러그, 조명 등을 조합한 공간 이미지를 보여준다. 고객은 제품을 이미지 내에서 바로 구매할 수 있다. 공간을 연출하기 어려우면 전문 홈스타일리스트의 일대일 맞춤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LG전자는 D2C를 전장·냉난방공조 등 기업간거래(B2B), 가전 구독·플랫폼 등 비하드웨어(Non-HW)와 함께 질적 성장의 중심축으로 꼽고 있다. D2C는 유통채널을 거치지 않고 제품을 직접 팔기 때문에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순천향대는 18일 ‘지역융복합연구원’ 개원식을 열고 아산시 공공·유관기관과의 협약식, 현판 제막식을 진행하며 연구원의 공식 출범을 알렸다.
지역융복합연구원은 지역 주요 현안을 발굴해 해결 중심의 정책연구를 수행하는 조직으로, 아산시·충남도·기초 의회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정책 개발, 타당성 검토, 시범사업 등을 추진하게 된다.
또 지·산·학 연계 연구를 활성화하고 정기 연구포럼과 정책 세미나를 통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글로컬대학30·RISE 사업 등 정부 재정지원사업과의 연계도 확대해 지역혁신 중심 연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날 협약은 아산시시설관리공단과 아산문화재단, 아산시먹거리재단, 아산시청소년재단, 헬스케어스파산업진흥원, 아산시미래장학회 등 아산 지역 공공·유관기관 6곳과 순천향대 등 총 7개 기관이 참여한 다자 협약으로 진행됐다. 각 기관은 지역 현안 해결과 지속 가능한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송병국 순천향대 총장은 “지역융복합연구원이 교통·주거·복지 등 지역 전 분야를 통합 분석해 실천적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전문 싱크탱크 역할을 할 것”이라며 “순천향대가 가진 의료·AI·빅데이터 역량을 바탕으로 아산의 50만 자족도시 도약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순천향대는 지역융복합연구원을 중심으로 지·산·학 기반 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대학 비전을 실천해 나갈 계획이다.
17일 가상통화거래소 빗썸이 운영하는 서울 강남구 빗썸라운지의 전광판에 이날 오후 2시 기준 비트코인 시세(1억4217만원)가 표시돼 있다. 비트코인은 최고점(1억7973만원) 대비 25%가량 떨어진 상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