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코디네이터 유통가에 ‘희망퇴직’ 칼바람이 불고 있다.
고물가 장기화에 소비심리 위축으로 경영환경이 녹록치 않은 데다 이커머스(전자상거래)와 인공지능(AI) 등 첨단 산업이 급부상하자 위기극복을 위해 구조조정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유통·식품 계열 4개사가 희망퇴직을 단행했거나 진행중이다. 대표적으로 롯데칠성음료는 오는 21일까지 근속 10년 이상 임직원을 대상으로, 롯데멤버스는 오는 19일까지 근속 5년 이상의 45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을 받고 있다.
롯데 통합 멤버십 엘포인트를 운영하는 롯데멤버스는 AI 도입 확산이 인력 감축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아 마케팅·핀테크 기업을 넘어 데이터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점이 한몫했다.
롯데그룹 계열사 편의점 세븐일레븐은 2년 연속 희망퇴직을 받았다. 세븐일레븐은 점포 수를 지난해 978개 줄인데 이어 희망퇴직을 지난해 10월과 올해 10월 두 차례 시행했다. 롯데웰푸드는 지난 4월 45세 이상, 근속 10년 이상 임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았다.
대형마트도 감원 한파를 피해가지 못했다. 온라인몰 공세에 오프라인 매장 경쟁력이 악화되자 직원 감축의 칼을 뺴들어서다. 실제 이마트는 지난 2019년 6월 말 기준 2만5000여명이던 직원 수가 지난해 6월 말 2만3000여명으로 2000명 가량 줄었다. 롯데마트도 같은 기간 1만3000여명에서 1만245명으로 3000명 가까이 감소했다. 대형마트 양대산맥의 직원 5000명이 사라진 것이다.
신규 채용을 하지 않는 곳도 있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업황 둔화를 고려해 예년과 달리 올해 하반기에는 공채를 진행하지 않았다. 홈플러스는 지난 1월 대형마트·익스프레스 부문 공채 이후 회생절차가 개시되면서 공채를 중단하고 수시채용만 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앞서 지난해 12월 부산·울산·경남지역에서 희망퇴직을 실시한 바 있다.
면세점도 예외는 아니다. 외국인 관광 트렌드가 단체 관광에서 개별 관광으로 바뀌자 희망퇴직과 시내 면세점 사업권 반납 등으로 불황 타개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 HDC신라는 지난해에, 현대면세점과 신라면세점은 지난 4월 각각 희망퇴직을 받은 바 있다.
LG생활건강은 지난달 백화점과 면세점의 영업직인 판매판촉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시행했다. 백화점과 면세점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 화장품을 구매하던 고객이 이커머스 등으로 옮겨간 영향이 컸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급성장으로 영화관이 불황을 겪으면서 CJ CGV는 올 상반기 80여명에 이어 하반기에도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이랜드패션은 15일 충남 천안의 물류센터에서 발생한 화재에 인명 피해는 없으나 일부 상품 배송이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랜드월드가 국내에 유통하는 뉴발란스는 홈페이지에서 “현재 물류센터 운영 일정에 예상치 못한 지연 이슈가 발생해 일부 주문의 출고가 평소보다 늦어지고 있다”며 “상품은 순차적으로 출고 준비 중”이라고 공지했다.
뉴발란스 측은 또 “정확한 일정은 확인되는 대로 안내하겠다”며 “불편하게 한 점에 깊이 사과드린다”고 했다.
이랜드패션은 자사 브랜드인 스파오, 로엠 등의 인터넷 홈페이지에도 이와 같은 공지문을 게재했다. 천안 물류센터에서는 뉴발란스 외에도 스파오, 후아유 등 10개 브랜드를 보관하고 있다.
소방 당국은 이날 오전 6시10분쯤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이랜드패션 물류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약 9시간30여분 만에 초진에 성공했다. 물류센터 경비원 등 직원 3명 모두 대피해 인명피해는 없었다.
2014년 7월 준공된 이 물류센터는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전체면적 19만3210㎡)로 화물차 150대가 동시 접안, 일일 최대 5만 박스, 연간 400만~500만 박스를 처리하는 대형 물류 시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