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반복되는 한강버스 사고
작성자  (211.♡.142.97)
부재중자동문자 반복되는 한강버스 사고 관련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16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새서울준비특별위원회와 가칭 오세훈 시정실패 정상화 TF가 공동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민주당 소속 의원들과 시의원들이 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한강버스 운항 전면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2025.11.16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정진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16일 한강버스가 강바닥에 걸려 멈춘 사고가 발생한 데 대해 오세훈 서울시장을 겨냥, '보여주기식 행정'을 하고 있다며 맹공을 폈다.박경미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날 사고를 "오 시장의 무능과 근시안적인 행정이 초래한 명백한 인재"로 규정하며 "한강버스는 '시민의 발'이 아닌 '서울시 행정 난맥상의 상징'으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백승아 원내대변인도 국회 브리핑에서 "기본적인 안전 기준도 제대로 갖추지 않고 시민을 대상으로 '안전 테스트'를 하듯 운항을 강행한 것이야말로 전형적인 구시대적 전시행정"이라며 "시민 안전과 시 예산을 담보로 '정치적 쇼'를 벌이는 것이 과연 시장이 할 일이냐"고 지적했다.민주당 '오세훈 시정실패 정상화 태스크포스(TF)'와 서울시당 새서울준비특별위원회도 이날 국회에서 한강버스 사고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민의 생명을 건 한강버스 운항을 전면 중단하라"고 요구했다.이들은 한강버스 개통 첫날부터 총 16차례 사고가 있었다며 전날 사고에 대해 "서울시가 시민의 안전 위에 보여주기 행정을 쌓아 올릴 때 어떤 위험이 발생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신호"라고 주장했다.이어 "수차례 경고에도 오 시장이 한강버스 사업을 중단하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없다. 전시행정을 위해 시민 안전을 담보로 잡고 있는 게 아니라면 도대체 무엇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서울시에 그간 발생한 한강버스 안전사고의 원인과 대응 과정에 대한 조사 결과 공개, 각 선착장의 안전 기준·시설물 관리·비상대응 체계 전면 개선, 사업 지속가능성 및 공공교통으로서의 실효성 평가 설명도 요구했다. 운항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기자회견장에서 한·미 정상회담의 결과물인 ‘조인트 팩트 시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용범 정책실장, 이 대통령,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급한 불은 껐지만, 곳곳에 불씨가 남았습니다.” 한·미 정상회담 결과물인 ‘조인트 팩트 시트’(공동 설명자료)에 대한 재계의 평가다. 7월 31일 잠정 합의한 지 100여일 만에 관세 협상을 일단락했다는 점에서 최악의 불확실성은 제거했다. 하지만 조건이 달렸거나, 후속 협상이 필요하거나, 상황이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는 측면에서 안심하기 이르다는 반응이다. 성과는 분명하다. 한국산 자동차·부품 관세를 경쟁국 수준인 15%로 낮췄고, 반도체의 경우 대만을 염두에 두고 ‘추후 한국보다 반도체 교역 규모가 큰 국가와 미국 간 관세 합의가 있다면 한국에 불리하지 않은 조건을 부여토록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정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여러모로 불리한 협상 여건에서 나쁘지 않은 결과를 얻어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과제도 남았다. 정부가 회담 성과 중 하나로 꼽는 미국의 핵추진잠수함(원자력추진잠수함) 건조 승인,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지지 등이 대표적이다. 최종 핵잠 확보까지 가려면 기존 한·미 원자력협정부터 개정해야 한다. 미 의회의 승인도 거쳐야 한다. 핵잠을 4척 이상 건조할 경우 드는 수십조원 단위 비용, 10년 가까이 걸리는 기간도 고려해야 한다. 마이클 그린 시드니대 미국학센터 소장은 “트럼프 정부가 협정을 개정해 미 상원 비준까지 받아낸다 해도, ITAR(국제무기거래규정) 수출 통제 재정비를 위한 협상에 나서야 한다”며 “완벽한 핵 관리·감독 이력과 민감한 극비 정보 보호 이력을 가진 호주도 협상에만 수년이 걸렸다”고 짚었다. 팩트 시트에서 끝내 빠진 ‘아픈 손가락’은 철강이다. 미국은 올해 초 철강·알루미늄에 각각 25%, 10% 관세를 부과했다. 6월에는 철강 관세를 50%까지 올렸다. 가뜩이나 중국발(發) 저가 제품 공세에다 온실가스 감축 의무 등으로 곤경에 빠진 철강 업계로선 난감한 협상 결과다. 최대 수출 시장인 유럽이 미국 관세에 강경 대응하는 과정에서 관세율을 대폭 올릴 가능성도 거론된다. 백철우 덕성여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이 큰 철강 관세를 부재중자동문자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73,908 개, 페이지 1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